부처가 출가하기 전 승마의 달인이었고 애마가 있었다는 사실은 무척 흥미롭다.
불교에선 예로부터 말 타는 것을 경계, 스님들은 승마와 별 인연이 없었다.
사극에서도 말 타는 스님을 좀처럼 볼 수 없다.
이 것은 부처의 가르침이라기보다 말을 사치품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백마 칸타카(Kanthaka)는 불교 경전에도 여러 번 등장하는 부처의 애마(愛馬)였다.
칸타카는 석가족의 왕궁 내에 있는 모든 말 중에서 가장 명석하고 능력 있는 준마로 태자 고타마 싯다르타의 총애를 받았다.
칸타카는 싯다르타가 야소다라를 아내로 맞는 데도 결정적인 공을 세웠다.
당시 관습에 따라 싯다르타는 야소다라 공주를 아내로 데려오기 위해 다른 왕족들과 무술시합을 해야 했다.
싯다르타가 자신의 능력을 증명해야 하는 종목은 승마, 기마궁술, 검술로 칸타카를 타고 기마궁술과 승마시험에서 상대방을 차례로 이겼다.
결혼 후 싯다르타는 고통 받는 백성들의 삶에서 크게 느낀 바가 있어 출가를 결심하게 된다.
싯다르타의 뜻을 꺾지 못한 시종 찬나는 모두가 잠든 밤에 칸타카에 안장을 얹고 주인을 태워 성 밖으로 나온다. 아노마 강을 건너자 싯다르타는 찬나에게 돌아갈 것을 명령하고, 찬나는 칸타카를 타고 성에 돌아온다. 칸타카 역시 주인이 떠난 후 크게 상심하여 시름시름 앓다가 죽는다.
불교 경전에 따르면 칸타카는 나중에 브라만 계급의 인간으로 환생, 부처의 설법을 듣게 되고, 마침내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칸타카는 오랜 세월 동안 불교 미술의 인기 있는 소재였다.
인도의 불교유적지 아마라바티엔 커다란 불탑의 유적이 있는데, 여기에는 싯다르타가 칸타카를 타고 출가하는 장면이 부조로 표현돼 있다. BC 2세기에 만들어진 이 부조는 칸타카가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미술품이다. 칸타카는 불가에서 건척(健陟)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