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앞으로 4년 유권자 손에 달렸다

6.2 지방 선거일이다. 우선 가족들과 함께 투표장으로 나가 신성한 한표를 행사라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선거에서는 전국적으로 시·도지사를 비롯해 시장·군수·구청장, 광역의회 의원과 기초의회 의원, 교육감과 교육의원 등 모두 3천991명을 뽑는다. 유권자들은 비록 지난 13일의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후보자들을 직접 만나지 못했더라도 중앙선관위원회가 발송한 선거공보 등 공개된 각종 자료를 통해 후보자의 자질과 도덕성 등을 꼼꼼하게 따져 앞으로 4년간 지역 살림을 맡길 인물을 선택해야 한다.

이번 선거는 특히 유권자 1명이 8명의 후보에게 투표를 해야 하는 ‘1인 8표제’인데다 경쟁률이 2.5대 1에 달하기 때문에 유권자들로서는 선거구당 평균 20명의 후보를 살펴봐야 하는 상황이 부담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아무리 뽑아야 할 후보를 골라내는 일이 쉽지 않다고 해도 잘못 뽑아놓고 4년 동안 자책하지 않으려면 선거공보를 잘 보고 후보를 선택한 뒤 투표장에 꼭 가야 한다.

선관위가 유권자의 집으로 보낸 공보를 보면 후보자의 재산, 납세실적, 병역, 전과 등 도덕성을 짐작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들이 있고 소속 정당, 경력, 공약 등을 통해 자질도 엿볼 수 있다. 설사 후보가 수십명에 달하고 공보가 100페이지나 된다고 해도 이런 사항들을 확인하는데 30분이면 충분하다.

민주주의는 공짜가 아니다. 지금의 지방선거도 숱한 희생을 치러내고 따낸 것이다. 시·도지사와 시장·군수를 중앙 정부가 마음대로 임명했다가 해임하고, 이들이 예산을 어떻게 쓰는지 따져보고 감시할 지방의회마저 없었던 시절을 생각하면 현재와 같은 지방자치를 잘 지켜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지방자치의 발전을 원한다면 이번 투표는 우리의 권리인 동시에 의무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철새정치인과 비리 전력자는 공천하지 않겠다며 개혁공천을 약속했던 여야가 내세운 후보중에 철새정치인과 비리 연루자가 있는 게 현실이고, 파렴치한 전과, 납득할 수 없는 병역면제, 투기 및 세금 탈루 등 의혹이 가시지 않는 후보도 많다. 경력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공직에 후보로 나선 사람도 있다. 이 모두 경계해야 할 대상자들이다.

제대로 된 지방자치를 바란다면 유권자의 의무를 다하는 게 먼저다. 앞으로 4년은 전적으로 유권자들이 얼마나 투표를 잘 하느냐에 달렸다. 평소 정치에 대한 불만을 얘기하면서 정작 선거에는 참여하지 않는 반쪽짜리 민주시민들이 아직은 많다. 투표장으로 가자. 그래야 잘못된 세상이 바뀌고 우리가 바라는 사회가 온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