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하나같이 장밋빛 공약을 내걸었다. 공약의 대부분은 경제와 교육과 관련한 내용으로 너나 없이 ‘경제를 살리겠다’, ‘명품교육도시를 만들겠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어떻게 살리고 만들건 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내용은 보이지 않았다.
고작 대안으로 제시한 일자리 창출과 무상급식도 궁색하긴 마찬가지였다. 또 야권후보들은 4대강 사업중단과 현정권 심판론을 내세워 한 표를 호소했다. 여기에 ‘노풍(盧風)이니, 북풍(北風)이니 말들도 많았다.
집권 여당인 한나라당에 맞서기 위한 야권의 단일화는 정당정치의 실종이란 비난을 감수해야했다. 마침내 6.2 지방선거는 끝이 났고 희비는 엇갈렸다.
먼저 당선의 기쁨을 안은 후보자들에게는 축하의 인사를, 그리고 애석하게 낙선을 한 후보자들에게는 위로의 말을 전한다.
선거운동 기간 일부 선거구에서 상대 후보를 비방하는 유인물이 뿌려지거나 금품살포 주장이 제기되는 등 잡음이 있었지만, 2006년 지방선거와 비교해서는 전반적으로 선거법 위반 사례가 많이 줄어든 선거였다는 평가다.
중앙선관위의 통계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6.2지방선거 기간 적발된 선거법 위반 행위는 모두 3천666건, 2006년 지방선거 때 5천797건에 비해 36.8% 감소한 수치다.
여하튼 선거는 대단원의 막을 내렸고. 특히 지방자치단체장은 민선 5기의 출범을 앞두게 됐다. 그동안 지방정부는 부정부패와 예산 낭비, 채무증가 등 도덕적 해이로 인해 호된 비판을 받아왔다. 4기 기초단체장 중 42%가 비리에 연루돼 기소됐다. 이처럼 단체장들의 비리가 끊이지 않는 이유는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단체장들에 대한 감시체계가 허술한데다 마땅히 이들을 견제해야 할 지방의회조차 그 기능을 제대로 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선자는 유권자의 선택을 받은 선량이다. 따라서 주어진 권력을 남용하는 일은 민심을 거스르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 ‘민심은 곧 천심’이라 했다. 초심으로 돌아가 흔들림이 없이 지역민들을 섬기고 자신을 낮춘다면 성공적으로 임기를 마무리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의 잘못을 거울삼아 신중하게 처신할 일이다. 지난 선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깨끗한’ 선거였다는 평가를 받은 만큼 민선 5기에 거는 기대도 그만큼 크다. 그러나 사람의 일이란 알 수가 없다. 과연 공약(公約)은 지켜질 것인지. 벌써부터 4년 후가 궁금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