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적으로 분리 운영되었던 서울, 부경경마공원 기수들의 경마장간 교류가 올해 7월부터 시행된다.
이에 따라 박태종·문세영 기수가 부경 주로를, 조성곤 기수가 서울 주로를 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부경경마공원은 그간 KRA컵 마일, 코리안더비 등 제한적인 이벤트성 교류경주와 소수 외국기수교류를 제외하고 각각 기수를 분리 운영해왔다.
주요 이유는 기수의 기승술 등 우위 조건을 지닌 서울과 뒤늦게 개장된 부경의 경주환경차이다.
그러나 개장 6년차에 접어든 부경경마공원이 교류경주에서 서울경마공원보다 좋은 성적을 내는 등 경마시행의 제반여건이 안정권에 접어들었다.
이에 마사회는 경마장간 교차출주, 순회경마 등에 대비하고 장기적으로 한국경마의 발전을 위해서 오는 7월부터 기수 교류를 시행키로 했다. 기수교류는 단계적으로 시행된다.
서울과 부경의 상금제도, 기승회수 등 환경이 다르므로 시행초기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국마사회는 초기에는 같은 수, 같은 기간, 단기에 최대 3명이라는 제한을 두고 교류를 시작하다 점차적으로 교류를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프리기수는 프리기수 간, 계약기수는 계약기수 간 동일 형태의 교류가 기본 원칙이다. 교류자의 선발은 각 경마장별 재결위원이 심사하고 추천할 예정이다.
당초 서울경마공원 기수들은 기수 교류에 우호적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부경 경주의 책정상금이 서울보다 낮아 굳이 부경으로 내려갈 유인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 상금구조에서 실제 책정상금을 따져본 결과, 기수 일인당 월평균 상금 책정액 규모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경경마공원 기수들은 상금획득이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의견도 있다. 서울기수들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경주경험과 노련한 기승술 등 능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계로 교류경주는 수습기수를 제외한 상위 50%에 해당하는 기수를 대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