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출범을 앞두고 있는 9대 수원시의회의 분위기가 심상찮다.
벌써부터 파행 운영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새롭게 출범하는 9대 의회 의장단 구성을 논의하고 있는 의원들은 의장단 선출 방식을 두고 이견이 엇갈리고 있다.
현재 다수당인 민주당의 3선 의원 3명이 거론되고 있다. 정치 신인들도 대거 의회에 입성한 만큼 연륜의 의원이 의회를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하지만 재선에 성공한 한 의원이 의장직 도전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같은 당내에서 조차 이상 기류가 흐르고 있다.
경선 등의 방식으로 선출하자는 의견도 있지만 이탈표가 생길 경우 자칫 잠재적으로 당내 분열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도 있다.
‘여소야대’ 구도가 만들어 졌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지난 2006년 지방선거에서 비례대표 4석을 제외한 32석 중 한나라당이 23석, 민주당이 11석을 차지하면서 부의장을 제외한 의장과 각 상임위원장은 거의 여당인 한나라당이 독점해 왔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 상황이 역전됐다.
민주당이 전체 34석 가운데 17석을 차지하면서 16석의 한나라당을 누르고 의회를 장악하게 된 것이다. 민주노동당도 1석을 차지했다.
기존 상임위원장 구성에 불만이 있던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관례적으로 제2당이 맡던 부의장직을 제외하고 모두 민주당이 차지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처럼 벌써부터 여·야간 힘겨루기 양상이 보이고 있다.
의회가 불협화음을 내다보면 자연히 시정을 견제해야 하는 의정 활동은 뒤로 밀려날 수 밖에 없다.
이번 의장단 구성을 위한 의원들간 엇갈린 시각차가 앞으로 의정 활동의 여·야 대립으로 이어지는 전초전이 될 가능성이 크다. “뽑아놓으면 뭐하나” 선거가 끝나면 으레 나오는 얘기가 있다. 민심은 무섭다. 분명 이번 지방선거가 이를 보여줬다. 후보 시절 다짐했던 마음 가짐들을 당선자들은 명심해야 한다.
새 각오로 새 출발하는 9대 수원시의회는 이 같은 비난을 받지 않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