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의 열기가 채 가시기도 전에 7.28 재보궐 선거를 위한 여야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여야 모두 지방선거 결과를 토대로 도덕성·당선 가능성 등 공천 기준을 더욱 엄격히 적용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인물 탐색에 들어갔다. 7.28 재보궐 선거는 서울 은평을, 강원 철원·화천·양구·인제, 충북 충주, 강원 태백·영월·평창·정선, 광주 남구, 강원 원주, 충남 천안을, 인천 계양을 등 총 8곳에서 실시된다.
6.2 지방선거에서도 나타났듯이 한나라당과 민주당 소속 후보들의 당선이 두드러지고 일부 군소 정당은 대부분 후보들이 고배를 마셔야 했다. 대의정치가 정당정치로 전개되는 오늘의 정치 상황에서 정당의 뒷받침 없는 정치활동이란 사실상 무의미하며 정당의 공천(公薦)없이 의회에 진출하기도 어렵다. 그러나 정당의 공천을 입후보의 법적 요건으로는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에서는 제3공화국 헌법 하에서 정당정치의 육성, 특히 양당제의 확립을 위해 대통령과 국회의원 입후보의 요건으로 정당의 공천을 규정했다.
정당정치에서 공천은 당락을 가르는 주요 변수가 됐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여야의 공천을 받기 위한 후보자들의 경쟁이 그어느 선거보다도 뜨거웠다. 한나라당 패배를 불러온 6.2지방선거에서 재선 도전에 성공한 김문수 한나라당 경기도지사가 선거패배 원인으로 공천을 지목했다. 김 지사는 7일 도청 기자실에서 “국회의원이 뭔데 시장·군수를 마음대로 (공천)하냐”고 했다. 평소 바른말 하기로 유명한 김 지사이지만 이번은 발언 강도가 좀 셌다.
김 지사는 낙천한 최영근 화성시장과 류화선 파주시장 등을 거명하며 “국회의원이 내 마음에 안 든다고 일 잘하는 시장후보를 낙천시키느냐. 이런 공천은 안 된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최 시장은 김성회(화성갑) 의원의 완강한 반대로 공천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류 시장은 황진하 의원의 반대에 공천확정이 지연된 바 있다. 아직은 이들 국회의원들의 반격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