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6.2 지방선거 이후 처음으로 선거 결과를 받아들이는 입장과 국정 현안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TV와 라디오로 생방송된 이 대통령의 연설은 청와대와 내각의 인적 개편, 세종시 건설과 4대강 사업 추진방향, 천안함 사건 처리 문제 등 지방선거 후 여권은 물론 국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쟁점들에 대해 비교적 구체적인 답변을 담고 있다.
청와대와 내각의 쇄신 요구에 대해서는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개편하고 그에 맞는 진용을 갖추겠다고 답했고, 세종시 문제는 국회에서 관련 법안들을 표결로 처리하면 그 결정을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견이 분분한 4대강 사업에 대해서는 더 많이 토론하고 더 많은 의견을 수렴하겠다면서 4대강 수계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의견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연설 내용을 보면 국정쇄신이 가시화되는 것은 물론 그동안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돼온 ‘소통 부재’가 해소되고 청와대와 정치권, 국민 등 주체별로 다양한 대화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이 대통령이 “정부와 여당은 국민의 뜻을 잘 헤아려야 할 의무가 있으며 선거에 졌을 때는 더 큰 교훈을 얻어야 한다”면서 “저를 포함해 청와대와 정부 모두 과감히 변화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민들이 원하는 변화의 목소리를 더 귀담아 듣겠다”며 “남의 탓을 하기 전에 ‘내 탓’이라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한 것은 이 대통령 자신을 비롯해 여권 내부의 변화 필요성을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국면전환용 인적 개편에 부정적이었던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철학도 이번에는 조금 바뀌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다. ‘선거를 통해 표출된 민심’을 진정 무겁게 받아들인다면 국민이 원하는 쇄신을 이제는 외면하기 어려운 시점이다.
지금 상황에서 여권의 인적 개편을 포함한 국정 쇄신과 당·정·청(한나라당·정부·청와대)간 불협화음이 해소되지 않으면 이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성공을 기약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는 판단이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표출된 민심이 바로 그 증거다.
얼마남지 않은 7.28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를 대수롭지 않게 보고 변화를 그 뒤로 미룬다면 여권으로서는 더 어려운 국면을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 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면 빨리 변할수록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