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이면 경기도지사를 비롯 도내 31개 시장, 군수들이 일제히 취임한다.
지난 6.2지방선거에서 민심의 선택을 받은 이들은 현재 푸른 청사진을 가슴에 품고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민선 5기를 맞는 단체장과 호흡을 같이 할 인적 구성을 거의 마무리 하고 지난 선거시 표심을 자극했던 공약사업들을 정비해 4년간의 정책목표를 완비했다. 이 시점에서 출발선에 선 단체장들에게 청렴을 요구한다.
서울대 행정대학원의 신도균 씨와 심인섭 씨가 발표한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에 관한 실증분석’ 논문에 따르면 민선 3기와 4기의 지방자치단체장중 38.3%가 기소됐다.
논문에 따르면 자치구(區) 보다 시군 단체장의 기소율이 높았다고 하니 경기도로서는 여간 신경이 쓰이지 않다.
부패혐의로 기소된 단체장의 출신을 분석하면 정치인이 124명중 52명으로 47.5%에 달해 절반에 가까운 정치인출신 단체장이 염불보다는 잿밥에 관심이 많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사회적 신망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지역운동가 출신 단체장도 13명 중 6명이 기소되는 충격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공무원, 지역유지, 학자 출신은 기소율이 35%대에 그쳤다고 하지만 이역시 민심의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공직자에게 요구되는 최우선 덕목은 청렴이다.
청렴이야말로 출발선에 선 단체장들이 뼈에 새겨야 할 민심의 목소리이자 시대의 요구이다.
우리나라는 2009년 국가투명성기구가 조사한 반부패지수에서 OECD국가중 최하위권인 39위를 기록했다. 한마디로 우리나라 공직자들은 부패 앞에서 자유스럽지 못하다는게 중론인 것이다. 수원시와 인연이 깊은 다산 정약용은 목민심서 청심편에서 “선물이 아무리 작아도 은혜로 정이 맺어지면 이미 사사로운 정이 행해진 것”이라며 공직자의 품행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
이권과 금품 앞에서 공지자의 신분을 망각하는 몰지각한 단체장은 이제 싹 조차 잘라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체장의 청렴을 지키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은 우리 민초들이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싶다.
단체장들의 청렴을 지켜내기 위한 결단과 함께 적당한 감시와 견제는 지방자치단체를 부패의 틀에서 벗어나 4년 내내 신선함을 유지케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