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세종시 입주포기 기업 유치는 냉정해야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에서 부결되면서 세종시 입주예정 기업들을 중심으로 입주지역 선택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엄청난 인센티브에 유인돼 세종시 입주를 계획하던 삼성, 롯데, 한화, 웅진 등의 대기업들이 세종시가 수정안이 아닌 원안으로 추진될 경우 세종시 입주가 어렵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사실 세종시 입주를 계획하던 대기업들을 세종시 수정안에 따른 인센티브에 강한 매력을 느껴왔는데 국회의 수정안 부결로 투자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거나 사업전략상 타 지역으로의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경기도가 발 빠르게 이들 기업들의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수원시 연고 기업인 삼성의 경우 오는 2015년까지 삼성전자, 삼성LED, 삼성SDI, 삼성SDS, 삼성전기 등 5개사가 그린에너지와 헬스케어 부분에 2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하고 접촉면을 넓혀가고 있다.

삼성도 세종시 입주가 무산될 경우 기존 보유부지를 활용할 방침으로 알려져 삼성이 필요로 하는 50만평의 필요부지를 해결할 경우 경기도 유치가 가시권에 들어온다. 롯데 역시 세종시 입주가 어려울 경우 1천억원이 투자될 롯데식품바이오연구소의 이전 건립에 들어갈 수 밖에 없어 광교등의 부지활용이 유용해 보인다.

한화나 웅진도 인센티브 없는 세종시에 대한 매력 상실을 숨기지 않고 있어 물류와 정보화, 시장을 배경으로 한 경기도 유치는 가능성이 열려 있다. 하지만 경기도의 이러한 발걸음이 장밋빛으로 점철되어 있지는 않다.

벌써 인천시와 부산시, 대구시 등이 정치권의 지원과 경제적 환경, 기업과의 인연 등을 내세워 손을 내밀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웅진의 경우 벌써 5개 지자체로부터 투자제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삼성은 기업연고를 내세운 대구시의 거센 유치의지에 직면해 있다. 이제부터 열정적 설득과 투자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익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기업을 유치하려는 만큼 정서적, 감정적 접근에서 벗어나 경기도 유치의 경우 파생될 기업이익에 대한 냉정한 논리적 접근이 절실하다.

결국 경기도의 세종시 입주예정기업의 유치전은 치졸한 지역이기적 발상이 아니라 기업에는 이익의 극대화라는 필요조건을 제공하고 국가에는 경쟁력강화라는 충분조건을 제공하는 상생이 돼야 한다. 이럴 경우 고용창출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는 필요충분조건으로 완성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