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회 출범을 앞두고 여야간의 자리싸움이 뜨겁다.
지난 6.2지방선거의 결과에 따라 지방의회의 구도가 뒤바뀌면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다수당을 차지한 민주당과 소수당으로 전락한 한나라당 간 힘 겨루기가 갈등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민주당은 다수당으로서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자리를 과점 혹은 독과점하려 하고 한나라당은 소수당에 대한 배려 혹은 의석수에 비례한 대우를 요구하고 있다.
8대 원구성을 서두르고 있는 경기도의회의 경우 소수당인 한나라당은 부의장 1석과 상임위원장 4석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민주당은 의장 1인과 부의장 2인에 대한 내정절차를 끝내고 인선 내용까지 공개, 한나라당의 요구를 묵살했다.
이에 앞서 민주당은 지난 7대 원구성시 당시 소수당이었던 민주당을 완전 배제한 채 한나라당이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직을 독식했던 것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8대 경기도의회 개원이 6일이지만 여야합의에 의한 원구성은 물건너가고 결국 고성과 몸싸움으로 이어지는 꼴사나운 모습이 벌어지지 않을까 우려를 사고 있다.
31개 기초의회에서도 여기저기서 경기도의회와 같은 파행이 이어지고 있다.
부천시의회의 경우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배분을 두고 여야간 협의에 실패, 29명의 시의원 가운데 한나라당 소속 12명의 의원이 불참한 가운데 본회의가 열렸다.
안양시의회 역시 부의장, 상임위원장, 간사 각 1인의 배분을 한나라당측이 요구하자 민주당측이 이를 거부, 전반기 의회를 이끌어갈 집행부를 구성하는 임시회에 한나라당 시의원 전원이 불참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이외 10여개 기초의회가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 구성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고 있어 이를 지켜보는 민심을 심란하게 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여야를 불문한 지방의원들은 지방의회 구성과정을 지켜보는 민심을 돌아보아야 한다. 지난 6.2지방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이 무엇이었던가?
독주하는 정권에 대한 견제이자 민심을 무시하는 정치권에 대한 심판이 아니었던가.
여야의 선거 성패를 떠나 민생을 무시한 채 당리당략에 앞섰던 정치권에 대한 경고가 아니었던가. 여야는 이제 첫 단추인 의장단 및 상임위 구성을 위한 대타협에 나서야 한다.
민생을 살피고 사회의 어두운 그늘을 거둬내기 위한 정치를 위해서는 여야 모두가 한걸음 물러나는 타협이 필요하다. 여야의 의정활동 최종 목표는 정치적 이해가 아니라 국리민복이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