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하던 일이 현실로 벌어졌다.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자리싸움으로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우던 8대 경기도의회가 개원일인 6일 의장단도 선출 못한 채 파행됐다.
이는 개원 전부터 어느 정도 예견됐던 일이나 국리민복을 우선으로 하는 의회이기에 설마 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우려는 현실이 됐고 양당 간 접점을 찾기 힘들어 파행국면이 장기화 될 것이라는 걱정이 도의회 안팎에서 힘을 얻고 있다.
지난 6.2지방선거를 통해 다수당으로 부상한 민주당은 원구성 협상의 전제조건으로 지난 7대 의회에서의 한나라당 독식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반면 한나라당은 의석 비율에 따른 부의장 1석과 상임위원장 4석의 배분을 선결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민주당은 과거의 잘못을 바로잡아야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는 주장이고 한나라당은 의석 비율에 따른 의장단 구성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외견상 양측의 주장은 일면 수긍할 부분도 있어 보인다.
그러나 본질은 치졸한 자리싸움이고 민심을 무시한 안하무인의 정쟁에 지나지 않다.
도의회의 사명과 민심의 현주소를 감안할 때 현재와 같은 도의회 파행은 의원들의 직무유기이자 본분을 망각한 행동이라고 지적하고 싶다. 도의회는 조례를 제정하고 예산안을 처리하며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를 통해 집행부를 견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 결산검사, 시정질문, 청원처리 등은 풀뿌리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도의회의 고유기능이자 민심을 안정시키고 지역발전을 견인할 장치들이다.
그런데 도의회가 출발부터 고유기능을 통한 국리민복 보다는 당리당략을 우선시 하는 행태를 보임으로써 민심을 실망시키고 있다.
민심의 안정과 국리민복을 우선한다면 문제를 풀지 못할 것도 없다.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사과요구에 수긍하고 적절한 수준의 유감표명을 하면 그만이다.
민주당은 다수당으로서 경기도의회 선례를 만들어간다는 차원으로 협상을 통해 한나라당의 주장을 적절한 수준에서 받아들이면 그만이다. 의회 민주주의는 타협의 산물이고 의회 민주주의 지탱하는 근원은 민심에 있다고 볼 때 민심안정과 국리민복보다 우선되는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당리당략에 따른 치졸한 다툼이 계속될 경우 도민들은 경기도의회와 도의원들의 필요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에 나설 것이다.
도민의 권익보다는 당리당략에 따른 낯뜨거운 자리싸움을 하는 도의원들이 필요한지를 묻게 될 것이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