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대 경기도의회 원구성을 놓고 파행을 거듭하던 민주당과 한나라당이 극적 합의를 이끌어냈다. 그동안 양당은 명분과 실리가 뒤얽힌 정쟁으로 도민들로부터 당리당략에 민의를 무시한다는 따가운 눈총을 받아왔다.
민주당은 지난 7대 도의회 원구성 당시 한나라당의 일방독주에 대한 사과를 원구성의 전제조건으로 요구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사과 요구를 무시한 채 의석비율에 따른 부의장 1석과 상임위원장 4석을 요구, 자리싸움의 양상으로 치달았다. 이에 본지는 사설(7월 8일자)을 통해 양당의 대타협을 촉구했다. 민심과 국리민복을 우선한다면 양당이 합의에 못이를 까닭이 없음을 강조한 사설은 그 대안까지 제시했다.
우선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사과요구를 적극 수용할 것을 권고했다.
치졸한 명분싸움이 아니라면 도민에게 절망감을 안기면서까지 유감표명을 못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배경이었다.
또 민주당에 대해서는 지난 6.2지방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반영하는 원구성을 통해 안정적인 지방의회 운영을 요구했다.
9일 극적 합의에 이른 양당간의 합의도 이에 크게 다르지 않다.
우선 정재영 경기도의회 한나라당 대표가 지난 7대 도의회 후반기 원구성 교섭결렬에 대한 유감을 표시해 양당간 협의에 커다란 걸림돌 하나를 제거했다.
정 대표는 기자회견을 통해 “한나라당은 7대 후반기 원구성에 있어 교섭결렬로 인해 다수당으로서 소수당에 부의장 1석과 상임위원장을 배려하지 못한 것에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향후 새로운 의회 관계를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고 유감의 뜻을 밝혔다.
민주당도 한나라당의 유감표명에 마음을 열었다. 고영인 민주당 대표의원은 “민주당의 선사과 요구에 대해 한나라당에서 응해주신 것을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원구성 협상에 합리적이고 성실하게 임할 것”을 약속했다.
정치는 이해당사자간 타협으로 성숙해 간다.
성숙한 타협은 아집과 독선, 선명성 경쟁으로 점철된 우리 정치사에서 그리 흔한 것은 아니다. 비온 후에 땅이 굳듯 경기도의회의 원구성을 둘러싼 갈등은 양당간 원만한 타협으로 새로운 희망을 주고 있다.
출발선에서 보여준 양당간의 합의와 타협 정신이 8대 도의회내내 좋은 선례로 남아 성숙된 풀뿌리민주주의를 실현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