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안전 구멍뚫린 고양 CNG버스

관할권 없어 市 경유 14개업체 1180대 점검상황 미파악
박시동 시의원, “타 지자체와 협력 전수조사 시급” 주장

고양시가 관할권이 없다는 이유로 시를 경유하는 타 지자체 소속 버스업체 및 노선에 대한 CNG버스비율 및 엔진재조사, 안전점검 상황 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시민안전 대책에 소홀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5일 고양시의회 박시동 시의원(건설교통위원회)에 따르면 박 의원은 지난 9일 서울에서 발생한 CNG버스 폭발사고와 관련해 시의 CNG버스 현황 등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시 관할 대형 시내버스 회사 명성운수의 경우, 총 315대 중에서 142대(약 45%)가 CNG 버스이며, 18개 노선 중 9개 노선에서 CNG 버스를 운영하고 있었다.

또 고양교통은 총 75대를 운영, 75대 전부(100%)를 CNG 버스로 운영되고 있었고, 엔진의 경우 명성운수 138대는 국산제품, 4대는 이번에 사고가 났던 이탈리아 파버사였다. 고양교통의 경우 68대는 국산제품, 7대는 이탈리아 파버사 제품으로 파악됐다.

박 의원은 “관련 공무원을 통해 확인한 결과 명성운수의 파버사 엔진은 4대 모두 2010년형 신형엔진이었고, 고양운수의 경우 7대 모두 2006년 형으로 서울사고의 원인이었던 2001년식 엔진은 한대도 없었다”며 “서울 사고와 동일한 연식 엔진이 없다는 점은 다행”이라고 밝혔다.

그는 하지만 “고양시가 관할권이 없다는 이유로 시를 경유하는 타 지자체 소속 14개 업체 83개 노선 약 1천180대 버스에 대해 CNG버스 비율 및 엔진 제조사, 안전점검사항 등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은 시민 안전에 구멍이 난 것이나 다름없다”며 “시를 경유하는 해당 타 지자체와 협력해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등 미연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시는 대형시내 버스의 경우 이번 사고 이후 충전율을 기존보다 10% 낮춰 현재 80% 충전 상태에서 운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