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이름이 셋입니다. 하나는 김동건이고, 또 하나는 아나운서, 그리고 세 번째가 ‘가요무대’입니다.”
올해로 25주년을 맞은 KBS 1TV ‘가요무대’의 산증인인 김동건(71) 아나운서는 이렇게 말하며 행복한 표정을 지었다.
현재 활동 중인 최고령 아나운서이자, 한국아나운서클럽 회장으로 한국 아나운서의 대명사인 그는 ‘가요무대’ 25년 역사 중 19년을 함께 하면서 대중에게 ‘가요무대’와 떼려야 땔 수 없을 정도로 각인된 인물이다.1985년 11월 ‘가요무대’ 3회 방송부터 마이크를 잡았던 그는 2003년 6월16일까지 18년간 832회를 진행하다 7년 만인 지난 5월17일 다시 ‘가요무대’로 돌아왔다.
“시청자들이 이렇게 생각해주시는데 제가 어떻게 함부로 하겠어요. 이 프로그램이 25년간 이어지도록 사랑해주신 시청자께 고맙고 해외 700만 동포도 너무 고맙습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 프로그램이 25년간 이어질 것이라 생각했나.
▲시작할 때만 해도 당시 시청자였던 연세 많은 분들이 돌아가시면 어쩌나 했는데 그건 기우였다.
나이 많은 사람은 자꾸 생겨났고 그 시절 사랑받던 노래는 지금도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나그네 설움’, ‘번지없는 주막’, ‘목포의 눈물’ ‘눈물젖은 두만강’ 같은 곡들은 80~90년이 지나도록 사랑받는다.
-그래도 노래의 변화가 있었을 것 같은데.
▲25년이 흘렀지만 트로트 장르를 다루는 프로그램은 몇개 없었고 트로트를 부르는 젊은 가수가 별로 없으니 신곡도 별로 없었다.
오죽하면 ‘가요무대’ 차원에서 새롭고 발랄한 신인을 발굴해야하지 않겠냐는 말도 나온다. 그래서 레퍼토리의 변화는 별로 크지 않았다. 우리가 그간 튼 곡 수가 2만3천곡이다. 그런데 중복해서 튼 곡이 많다. 노래라는 것은 자기가 좋아하는 곡은 매주 들어도 좋은 법이다. 또 ‘가요무대’ 이전에 만들어진 곡들이 너무 많아서 그것들을 소화하기도 힘들다.
-그간 관객들에게 선물도 많이 받았을 것 같다.
▲늘 오시던 할머니 한분이 있는데 항상 껌을 하나씩 주셨다. 오랫동안 손에 쥐어 흐물흐물해진 껌을 주기도 했다. 그런데 내가 껌을 안 씹는다. 껌이라는 게 단물만 빨고 버리는 것 같아 싫고 그것을 딱딱 소리내며 씹고 있는 것도 싫다. 하지만 선물을 안 받으면 실망하실테니 받으면 ‘왜 안 씹냐’고 하셨다. 그래서 ‘방송 끝난 후 씹을게요’라며 넘겼다. 그 선물은 받았지만 다른 선물은 받으면 안된다. 방청객들에게 왜 선물을 받나. 와주시는 것만도 고마운데.
-‘가요무대’를 하며 가장 큰 보람은 무엇인가.
▲의학자들이 오래 살 수 있는 비결로 꼽은 10가지 중 노래부르기가 상위에 들어가 있더라. 노래가 얼마나 건강에 좋은지 보여주는 것 아니냐. 이렇게 훌륭한 프로그램을 오래도록 진행할 수 있다는 것에서 보람을 느낀다.
-아나운서 인생 48년째다.
▲참 오래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아나운서 꿈을 꾸고 대학교 1학년 때 시험을 봤는데 그때 어머니가 춥고 배고픈 직업이라고 하지 말라고 하셨다. 그때 내가 3년만 해보고 그때 가서 아니다 싶으면 관두겠다고 시작한 게 어느새 50년을 바라보고 있다. 천직이라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