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은 내년부터 전국 처음으로 외국어교육의 균형 발전을 위해 ‘제2외국어 활성화 대책’을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2011학년도부터 서양어를 한 과목 이상 개설해 운영하거나 제2외국어를 연계 운영하는 중·고등학교에 연간 1천만~3천만원의 운영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서양어를 두 과목 이상 개설해 운영하거나 학년별 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를 ‘외국어 교육과정 특성화 학교’ 또는 ‘외국어 교육과정 거점학교’로 지정해 행·재정적인 지원과 더불어 승진 가산점 등 교원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제2외국어를 집중 이수 또는 연계 이수한 학생이 대학을 진학할 때 동일계열 특별전형 확대 및 우대 차원에서 수도권 제2외국어 설치 대학과 협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이번 제2외국어 활성화 대책은 제2외국어의 동양어 편중과 교육과정 단절 문제를 해결하고 외국어교육의 균형발전을 위해 마련됐다.
현재 도내 일반고 중 97.5%가 일본어와 중국어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으며 프랑스어를 비롯한 서양어를 개설한 일반고는 2.5%에 머물러 있다.
일반고 중 제2외국어Ⅱ를 개설한 학교는 없다. 중학교 가운데 서양어를 개설한 학교는 국제중 1개와 일반중 1개 등 2개교 뿐이다.
2014학년도부터는 대학수학능력시험 과목에서 제2외국어가 제외될 수도 있다.
제2외국어는 수능 개편안 1안에서는 현행 유지되지만 2안에서는 빠져 있다.
또한 2009년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2011학년도부터 제2외국어는 외국어과목군에서 교양과목군의 선택과목으로 전환돼 교과 편중 현상이 심화될 것이 우려되고 있다.
도교육청 박경석 교육국장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중3 과정에 생활외국어를, 고2~3 과정에 제2외국어를 개설하고 있어 고1 때 공백이 생긴다”며 “제2외국어 활성화 대책을 통해 학생들의 외국어교육 단절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사회 인재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