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흐림동두천 4.0℃
  • 맑음강릉 7.5℃
  • 연무서울 5.3℃
  • 구름많음대전 5.9℃
  • 맑음대구 5.6℃
  • 연무울산 5.2℃
  • 흐림광주 8.0℃
  • 맑음부산 6.2℃
  • 흐림고창 7.1℃
  • 구름많음제주 10.0℃
  • 맑음강화 -0.1℃
  • 흐림보은 4.7℃
  • 흐림금산 5.3℃
  • 맑음강진군 7.6℃
  • 맑음경주시 5.9℃
  • 맑음거제 6.5℃
기상청 제공

[연예] “저도 참가할까 고민해요”

광고예고 멘트 화제 ‘슈퍼스타K 2’ MC 김성주
최대한 재밌게 최고로 긴장감있게 하려고 머리 굴려

 

“여러분, 탈락자는… 60초 후 공개하겠습니다”

“과연 이들 중 다음 라운드 진출자는 누가 될 것인지. 여러분, 탈락자는… 60초 후 공개하겠습니다.”

시청률 20%에 육박하며 22일 막을 내린 Mnet의 ‘슈퍼스타K 2’. 합격자와 탈락자가 발표되는 순간, 한창 긴장감이 고조된 상태에서 이 멘트가 흘러나오면 방청객도, 시청자도, 그리고 출연자도 저마다 입에서 한숨이 나온다.

MC 김성주가 CM 시간을 알리는 이 멘트는 모두를 괴롭게 만들면서도 긴장을 한층 더 고조시키는 효과가 있다. 프로그램이 전국적인 화제가 되면서 이 멘트는 이제는 유행어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이 프로그램으로 수많은 스타들이 탄생했고 프로그램 자체도 스타가 됐지만 그 뒤에는 MC 김성주의 역할이 작지 않았다.

◇풍부한 스포츠 중계 경험이 진행에 도움 = 김성주는 “트위터나 인터넷 댓글, 혹은 지인들을 통해 ‘너무 뜸을 들인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며 “‘60초 후에 발표하겠다’는 멘트로도 항의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았다. 최대한 재미있고 긴장감 있게 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광고를 하기는 해야 하잖아요. 최대한 시청자들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도 긴장감을 높이기 위해 제작진과 함께 머리를 많이 굴렸어요. 방청객들은 멘트를 하는 타이밍을 바꿔도 눈치를 채고 먼저 제 멘트를 하기도 하시는데 이승철씨나 윤종신씨 같은 심사위원들도 매번 속더군요.”

◇“스타성 가장 높은 출연자는 강승윤” = 그는 톱4까지 올라갔던 강승윤을 가장 스타성이 높은 출연자로 꼽았다.

“고향(청주) 친구들로부터 같은 고향 후배인 김지수에게 신경을 많이 써달라는 전화를 많이 받기도 했었다”는 그는 “개인적으로 출연자 중 가장 좋아하는 사람은 강승윤이다. 가장 매력적이고 스타가 될 가능성도 제일 커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강승윤은 풋사과 같은 다듬어지지 않은 매력이 있는 것 같다. 윤종신의 도움을 받아 ‘본능적으로’를 불렀을 때처럼 누군가가 신경을 써서 다듬어 준다면 충분히 최고의 무대를 보여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성주는 최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직접 기타를 산 사실을 알리기도 했다.

그는 “‘슈퍼스타K’가 평범한 사람들에게 ‘가수에 도전해보면 어떨까’하는 꿈을 심어주고 있는 것 같다”며 “내년에는 직접 오디션에 한번 도전해 볼까 고민 중이다”고 말했다.

◇“프리랜서 선언, 외롭기는 하지만 후회 안해” = 2000년 MBC에 입사한 김성주는 2006년 독일월드컵의 캐스터로 큰 인기를 모았으며 같은 방송사의 다양한 교양ㆍ예능프로그램을 통해 스타 MC가 됐다.

이후 2007년 프리랜서 선언을 한 그는 진행을 맡던 MBC 프로그램에서 하차하는 등 잠시 어려운 시기를 보냈으나 지금은 10개에 가까운 케이블ㆍ공중파 TV의 진행을 맡으며 제2의 전성기를 보내고 있다.

프로야구 시즌 중 MBC ESPN에서 캐스터를 맡았던 그는 ‘슈퍼스타K 2’ 외에도 EBS의 ‘생방송 60분’, 스토리온의 ‘엄마, 영어에 미치다’, tnN의 ‘화성인 바이러스’, KBS조이의 ‘어깨동무’ MC를 맡고 있으며 최근에는 MBC ‘일밤’의 ‘오늘을 즐겨라’ 코너에도 MC로 투입됐다.

김성주는 프리랜서 활동에 대해 “MBC에서 나온 뒤 조직이나 회식 같은 집단의 문화가 그립기도 하고 도움을 주고받을 선후배가 사라졌다는 점에서 외로움도 느낀다”며 “하지만 일에 관한 부분에서는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프리랜서 선언을 하고 예능 경험이 많아지기 전까지는 방청객을 병풍으로 보고 그저 카메라랑만 잘해보면 된다는 식으로 생각했었거든요.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이경규나 김구라 같은 분들에게서 관객들과 호흡하는 법을 배웠던 것이 ‘슈퍼스타K’에서 긴장감을 끌어올리는 데 많은 도움이 됐어요. 계속 같은 회사에서 아나운서 생활만 했다면 이렇게는 못하지 않았을까요?”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