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새끼발가락 쪽으로 휘는 질환이나 치료가 필요없는 것으로 알거나 전문 치료의료기관 또한 흔치 않아 방치되고 있는 대표적인 발 질환이다.
엄지 발가락의 제1중족 발가락 관절을 기준으로 발가락 쪽의 뼈가 바깥쪽으로 치우치고 발뒤꿈치 쪽의 뼈는 반대로 안쪽으로 치우치는 변형을 보인다. 발가락이 발등 쪽으로 휘거나 회전(엄지 발가락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변형을 동반해 삼차원적 변형을 일으킨다.
무지외반증은 선·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선천적 요인은 원위 중족 관절면 각의 과다, 평발과 넓적한 발, 원발성 중족골내전증, 과도하게 유연한 발일 경우며 후천적 요인은 신발코가 좁고 굽이 높은 하이힐 착용, 외상이 있을 때 등이다.
(도움말=분당차병원 정형외과 최우진 교수)
◇증상
흔한 증상은 제1중족 발가락 관절 안쪽의 돌출 부위 통증이다. 돌출 부위가 신발에 맞닿게되면 두꺼워지며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한다.
또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발가락의 발바닥 쪽에 굳은 살이 생기고 통증이 발생한다. 심하면 두 번째 발가락이 엄지 발가락과 겹쳐지거나 관절이 탈구되기도 한다. 새끼 발가락 쪽에도 관절이 돌출되기도 한다.
또 엄지발가락이 정상 기능을 못하기 때문에 비정상적 보행을 하고 이로인해 발목 및 무릎, 허리에까지 스트레스가 가해져 2차적인 질환이 유발되기도 한다.
◇진단·치료
무지외반증은 외관상 진단이 가능하나 적절한 치료를 받기위해서는 의사의 진찰이나 방사선 촬영 검사 진단이 요구된다. 치료 여부는 불편 정도와 의학적 소견을 종합해 결정하지만 환자의 주관성이 중시되는 경향이 짙다.
외관상의 개선이나 예쁜 구두를 신고 싶어서 수술 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수술 부위에 흉터가 남거나 수술 후에도 하이힐 등 불편한 신발을 신기 곤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하지 않는 보존적인 치료로는 돌출 부위를 자극하지 않도록 편한 신발을 신는 것이다. 발가락 쪽이 넓고 굽이 낮은 신발 혹은 운동화를 신는 것이 좋다. 엄지 발가락의 돌출 부위나 두 번째 세 번째 발가락 아래가 자극되지 않도록 신발 안에 교정 안창을 넣기도 한다.
수술할 때는 장단점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법으로는 돌출 부위의 뼈를 깎아내고 내외 측으로 치우친 뼈를 잘라서 각을 교정하며 짧아진 근육 및 연부 조직을 늘려주는 것이다. 과거에는 재발율이 높아 환자들이 수술하기를 꺼려했지만 최근에는 재발률이 현저히 낮아졌다.
또 수술 후 자가통증조절 약물을 투여, 수술 당일 밤 심한 통증 없이 취침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수술 시간은 한 시간 정도 걸리며 수술 후 3~4일간 입원한다. 수술 후 4~6주 정도는 특수신발을 신고 장시간 서있거나 무리한 활동은 피해야 한다.
◇예방법
무지외반증 예방은 7cm 굽 이상 되는 하이힐 보다는 부드러운 재질의 신발을 신는 게 좋고 발 사이즈보다 1cm 정도 큰 신발이 좋다. 또 발가락을 오므렸다 펴주는 발가락 스트레칭을 자주해 발 근육을 이완 시켜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만약 굽이 높은 하이힐을 신어야 할 때는 하루 6시간 이하로 신도록하고 귀가해 따뜻한 물에 발을 담근 후 가볍게 주물러 줘 발의 피로를 풀어주면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