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경기도교육청이 지난 14일 발표한 ‘교원 행정업무 경감 2단계 추진 계획’ 중 일선 학교 교장실의 교육지원실 통합 방안에 대해 도내 일부 학교장들이 현장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정책이라며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경기교원단체총연합회는 학교 현실을 도외시한 탁상행정이라며 정책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경기교총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교원 행정업무 과정의 문제가 마치 교장실, 교무실, 행정실이 공간적으로 분리돼 있고 교육지원실이 미비된 문제로 인식하고 있어 도교육청 문제인식 능력의 단순성과 편협성에 심각한 우려를 금치 못한다”고 표명했다.
이 단체는 “더 이상 표면적이고 효과성 없는 전시행정으로 인해 교육현장이 혼란과 갈등을 겪지 않도록 도교육청은 각 실을 통합해 교육지원실을 설치하고자 하는 계획을 즉단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교원업무 경감의 현실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면 교무행정 전담인력을 각급 학교에 즉각 배치하고 직무분석을 통해 교무·일반행정간의 갈등을 제거하고 업무 효율을 위해 업무담당부서 지침 및 내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학교장들은 “도교육청에서 학교장 중심의 운영 방침을 제시해왔지만 교장실을 교육지원실로 통합하는 엇박자 행정을 보이고 있다”며 “교장의 권위를 무시하고 전시행정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현장을 도외시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지원실 시범 운영은 교사가 수업과 학생지도에 전념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교장실을 없애는 것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또한 “교육지원실 운영 형태는 학교 실정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고 전제한 뒤 “교장실을 별도로 하고 교무행정과 일반행정의 동일 공간을 배치하거나 교장실과 함께 교무행정과 일반행정을 배치하는 방안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이날 논평을 통해 도교육청의 교원 업무경감 2단계 추진 계획을 지지하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