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돌봄을 기치로 더 낮은곳으로 더 뜨겁게를 표방하고 있는 경기도 행정이 정작 장애인 고용에는 인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도의회 경자투자위원회 소속 김영환 의원(민·고양7)이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경기도 및 산하단체 장애인 고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기과학기술진흥원과 킨텍스, 경기테크노파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대진테크노파크, 경기평택항만공사 등이 단 한명의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경기도는 정부의 3% 의무고용비율보다 높은 4%의 의무고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놓고 있다.
도의 의무고용 가이드라인을 지키고 있는 곳은 경기농림재단과 디지털콘텐츠진흥원 단 두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정부의 의무 법정 비율인 3%를 넘긴 곳은 경기문화재단과 나노소자특화팹센터, 경기복지재단 등 3곳에 불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김 의원은 “앞으로 기관평가에서 이 같은 장애인 고용실적도 주요 기준으로 삼아 사회적 약자 보호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