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국민지향’ 공천제도개혁특위(위원장 나경원)는 15일 차기 총선 공천과 관련 선거 6개월 전까지 공심위 구성에 이어 2012년 1월까지 완료하는 잠정안을 제시했다.
당 공천개혁특위는 이날 국회도서관에서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개최한 ‘한나라당 공천제도 개혁의 방향과 과제’ 공청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현 공천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집중 토론했다.
공천개혁특위는 토론에 앞서 상향식 공천원칙을 반영해 ▲대의원 20% ▲일반당원 30% ▲국민 30% ▲여론조사 20%의 비율로 국민경선을 실시해 후보자를 선출하되 전략공천 비율을 전체의 20% 이내로 제한하는 내용의 골자를 공개했다.
이에 주제발표에 나선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국민경선, 공정, 선심사후, 탄력성, 전략공천, 공천시기 제도화, 사회적약자 배려 원칙 등 7개 원칙이 필요하다”며 “현역의원 평가는 교체 여부, 경쟁력, 적합도, 지역구 활동, 인지도, 의정활동평가 등 6개 항목을, 비현역 의원은 경쟁력과 인지도, 지역기반, 지역구 활동성, 지역구 평판 등5개 항목을 중심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남경필(수원팔달)의원은 “공천개혁이 실패한 이유는 금권선거, 역선택, 당 역할 전무 때문인 만큼 국민경선은 여러 정당이 하루에 실시하자”며 “공천은 최소한 선거시작 2∼3개월전 마무리하고 현역물갈이도 당이 아닌 국민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박준선(용인기흥)의원은 “차기 공천은 국민들과 당원들의 눈높이에 맞춰야 하고, 변화가 없이는 대한민국 정치도 변할 수 없다”며 “이번 한나라당 공천개혁안이 공천에 있어 한 획을 긋는 계기가 마련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함진규 시흥갑 당협위원장은 “경선이 좋은 면도 있지만 후유증이 크다는 점은 단점”이라며 “새로운 제도를 만드는 것도 필요하지만 현 공천심사 제도의 최대한 활용과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