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대곡역이 통합교통 복합환승센터 시범사업대상지로 선정됐다.
국토해양부는 2일 동대구역, 익산역, 울산역, 송정역 등 4곳을 2010년 시범사업으로, 부전역, 동래역, 대곡역, 남춘천역 4곳을 2011년 시범사업으로 각각 최종 지정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복합환승센터는 교통수단간 교통결절점중심으로 연계환승체계를 강화하고 고밀도 복합개발을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으로, 시범사업은 지자체 등에서 응모한 13개 사업을 대상으로 평가해 선정했다.
이에 따라 대곡역은 향후 고속철도, 도시철도, 버스 등 주요 교통 요충지로서 각 교통체계간 환승 효율을 높이고, 문화·업무·상업·주거 등 복합기능시설을 갖춘 지역 성장발전의 신성장동력의 거점으로 성장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곡역은 환승센터에서 출발·도착하는 버스의 접근 편의를 위해 고속도로로 직접 진출입 할 수 있는 전용 연결로가 설치되기 때문에 외곽순환고속도로로 직접 진출입이 가능해 질 전망이다.
또 기종점노선 및 경유 노선을 복합해 운영하는 종합터미널 기능이 추가돼 외곽순환도로에서 직접 연결되는 광역·시외버스 환승터미널 및 정류소로서의 복합적 기능을 갖추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함께 교통수단별 복층구조 일체화를 통해 GTX 역사 입지에 따른 BRT(중앙로, 일산IC), 지하철 3호선(3F), 대곡-소사(1F), 교외선(1F)과 수직, 수평 동선에 의한 편리한 환승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백성운(고양일산동구) 의원은 “대곡역에 복합환승센터가 건립되는데는 18대 총선거 공약으로 추진한 대곡-소사 복선화사업 성사와 지난 2008년 국정감사를 통해 처음으로 제기했던 킨텍스-코엑스를 연결하는 대심도 철도사업의 확정이 결정적 계기가 됐다”며 “시범사업 선정을 위한 청사진을 비롯해 사업 시행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고 선정 과정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