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나 할아버지가 손자·손녀를 맡아 기르는 조손(祖孫)가족의 대부분이 최저생계비도 안 되는 적은 소득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여성가족부가 65세 이상의 조부모와 만 18세 이하의 손자녀로 구성된 전국의 조손가족 5만1천852가구 중 1만2천750가구(24.6%)를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월평균 소득이 59만7천원에 불과했다.
또 조사 대상 조손가구의 대다수(82.9%)가 조모나 조부 혼자서 손자녀를 키우고 있었으며, 64.1%가 소득이 80만원 미만으로, 2인가족 최저생계비인 85만8천원에도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부모들의 평균 나이가 72.6세로 고령이어서 경제활동이 쉽지 않고 전체 가구의 절반가량인 46.7%가 정부나 공공기관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조부모들은 손자녀 양육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아이 양육(교육)에 따른 경제적 문제’(66.2%)를 꼽았다.
그밖의 어려움으로는 ‘아이의 생활 및 학습지도 문제’(11.5%), ‘아이의 장래를 준비해주는 문제’(10.0%), ‘아이와 가족의 건강문제(6.8%) 등이 꼽혔다.
또 고령 및 경제적 곤란, 어린 손자녀를 양육하는 데 따른 스트레스가 건강관리 소홀로 이어져 조부모의 82.2%가 거동불편이나 크고 작은 질병에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 사는 손자녀들(평균 연령 13.3세) 역시 경제적 곤궁과 조부모의 질병, 조부모와의 세대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이혼율이 해마다 증가 추세라는 점과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향후 조손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관련부처와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