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척추센터 김현집·윤상훈·염진섭 교수팀이 황색인대 형태를 보고 황색인대 골화증의 치료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 주목받고 있다.
17일 분당서울대병원 등에 따르면 황색인대(척추 후방에서 신경을 감싸고 있는 인대)가 딱딱해지고 두꺼워지면 이로 인해 척수신경이 눌려서 하반신 마비나 통증을 일으키는데 이를 황색인대 골화증이라 일컫는데 김현집 교수팀이 최근에 황색인대 골화증의 수술 치료 여부를 황색인대의 형태로 비교적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냈다.
황색인대 골화증은 하지 감각이상과 통증을 유발하며 다리 근력이 약해져 심하면 하반신 마비까지 일으키고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발생빈도가 높다.
이 질환은 조기발견이 어렵고 진단을 받더라도 어떤 상태에서 수술을 해야하는가를 제시하는 연구사례가 없어 수술 치료 결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김 교수팀은 흉추부 황색인대 골화증으로 진단된 106명의 환자를 분석해 이중 수술 환자 40명과 수술하지 않은 관찰 환자 66명의 MRI 등 의 검사에서 황색인대의 모양(연결형 또는 새부리형)을 보고 보다 쉽게 수술 치료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연구팀은 수술이 필요치 않은 환자의 다양한 MRI 결과와 환자의 임상결과를 분석해 흉추부 황색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척추병증 환자를 치료하는 지침서를 냈다.
김현집 교수는 “이번 황색인대 형태를 이용한 황색인대 골화증 치료 여부 예측으로 보다 생산적인 의료시술을 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척수 학술지 European Spine Journal 최근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