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1인 창조기업의 창업 및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약 8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한다.
중소기업청은 8일 ‘1인 창조기업 주요성과 및 2011년 지원계획’을 발표하고 1인 창조기업 관련예산을 전년대비 53% 증가한 792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증액은 양적성장을 계속하고 있는 1인 창조기업이 벤처기업·혁신형 기업으로의 성장이 부족하고 스마트폰 등 모바일 특화시책을 마련하였으나 타 분야(IPTV, 정보서비스 등)의 맞춤형 시책은 미흡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올해의 1인 창조기업 정책방향은 ▲성장단계별 지원을 통해 질적 성장도모 ▲수평적 및 수직적 동반성장 ▲유망분야 1인 창조기업 집중육성 ▲1인 창조기업 인프라 구축 및 인식개선 등으로 가닥을 잡았다.
중기청은 올해부터 자기계발 골드카드를 폐지하고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 카드’를 신규로 도입한다.
최고 360만원 까지 교육뿐 아니라 경영 교육이나 사무공간 사용 비용 등을 낼 수 있도록 사용범위를 확대하고 카드 지원비율은 성장단계별로 차등지급된다. 또 경영 상담 등을 받을 수 있는 비즈니스센터는 지난해 보다 13개 늘어난 30개로 확대된다.
아울러 ‘1인 창조기업 DB’ 3천개를 구축해 온라인상 비즈니스 매칭을 제공하며 중소기업과 1인 창조기업이 함께 신제품을 개발하면 팀당 최대 1억원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전국 앱창작터를 25개(2010년 11개)로 늘려 연 4천200명의 앱개발자를 양성하고 기술신용보증기금(250억원), 지역신용보증재단(150억원)이 운영하는 특례보증을 통해 성장자금 4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기청 관계자는 “그동안 추진했던 정책의 내실화와 올해의 새로운 정책을 통해 1인 창조기업을 집중 육성할 경우 2011년 우수 1인 창조기업 2천800개를 양성하고, 1인 창조기업과 중소기업간에 지식거래시장을 신규로 400억원 규모로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