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승헌(35)을 만났다.
꽃미남의 대명사이자 아시아를 주름잡는 한류스타이고 지난 24일 막을 내린 MBC TV ‘마이 프린세스’에서 재벌 상속자이자 엘리트 외교관 박해영을 연기하며 로맨틱 가이로 등극한, 말 그대로 ‘핫 피플(HOT PEOPLE)’인 그다. 드라마 종영 다음날 논현동 한 식당에서 마주한 그는 많은 이야기를 쏟아냈다. 데뷔 16년. 송승헌을 깊이 들여다봤다.
-잠 좀 잤나. ‘마이 프린세스’ 스케줄이 살인적이었다고 하던데.
▲마지막회 방송일인 24일 오후 6시까지 촬영하고 곧바로 쫑파티에 갔다. 술은 별로 안 마셨는데 완전히 ‘기절’했다. 너무 피곤해서 그랬던 것 같다. 매니저가 날 차에 태워 집 앞에 도착한 후 깨우느라 1시간이 걸렸다고 하더라. 그랬는데 오늘 아침 7시에 눈이 떠지더라. 두 달간 너무 잠을 못 자서 그런지 더 잠이 안오더라. 쫑파티에 가느라 정작 마지막회를 못 봐 일어나서 그거 챙겨봤다.
-끝낸 소감이 어떤가. 아쉬움이 많이 남을 것 같은데.
▲솔직히 중간에는 ‘이러다 방송사고 나는 것 아닐까’ 싶은 순간도 있었다. 그만큼 기막힌 스케줄이었다. 일단 무사히 끝나서 다행이다. 물론 아쉬움도 많다. 하지만 장르와 캐릭터는 재미있었다. 어떤 경험도 결국 내겐 피가 되고 살이 된다고 생각한다.
-왜 지금 로맨틱 코미디인가. 그리고 왜 이제야 하나.
▲드라마 ‘에덴의 동쪽’, 영화 ‘무적자’ 등 최근 계속 무거운 작품을 했고 언젠가부터 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을 하던, 데뷔 때의 ‘썰렁한 송승헌’의 모습을 보고 싶다는 말을 많이 듣던 차에 이 작품이 들어왔다. 1-4회 대본이 미리 나와 있었는데 그건 정말 재미있었다. 그땐 당장 5회부터 대본이 늦게 나올 줄은 몰랐다.(웃음)
왜 진작 안 했냐고? 어려서는 멋져 보이고 싶었다. 그땐 해피엔딩보다는 뭔가 여운이 남는 작품을 선호했다.
-로맨틱 코미디를 해보니 어떤가. ‘제 옷을 입었다’는 호평이 이어졌다.
▲항상 인상 쓰고 무게 잡는 연기를 하다 보니 이번에는 장난치는 느낌? 놀러온 느낌이 들었다. 촬영 스케줄은 힘들었지만 연기 자체는 아주 재미있었다. 늘 인생의 무게를 어깨에 짊어진 폼 잡는 역이었는데 이번에는 그러지 않아도 돼서 좋았다.(웃음) 기회가 되면 다음에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도 해보고 싶다.
-닭살 돋는 러브신을 이번처럼 많이 한 적이 없었다. 김태희와 실제로 사랑에 빠진 것은 아닌가.
▲그렇게 보셨다면 우리의 연기가 좋았던 거겠지.(웃음) 그냥 실제로 연애하는 것처럼 재미있게, 편하게 찍었다. 박해영이 이런저런 장난을 치는 모습이 나와 비슷하다. 다만 난 연애할 때 박해영보다는 적극적이기 때문에 박해영의 소극적인 애정표현에는 답답해지더라. 박해영은 탈세의혹 등으로 이설과의 결혼을 망설였지만 진짜 사랑하면 그런 게 어딨나. 나 같으면 이설에게 ‘그냥 우리 도망가자’고 했을 것이다.
-두려운 게 있나. 인기가 떨어질까 두렵지 않나.
▲신인 시절부터 '인기에 연연하지 말라'는 말을 귀에 못이 박이게 들어서 그런지 별로 연연하지 않는 편이다. 물론 나도 사람인데 인기가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게 낫지만 내가 언제까지 청춘스타일 수만은 없지 않겠나. 두려움보다는 이번에 ‘마이 프린세스’에서 이순재 선생님을 보면서 그 연세에 그렇게 열정적일 수 있다는 것이 너무 멋져 보였고 그렇게 되고 싶어졌다. 그분을 보면서 내 자신이 부끄러워지더라. 이순재 선생님은 학창시절 연기를 파고들며 심취하는 시간을 가졌지만 난 연기를 전공한 것도, 어려서 연기자를 꿈꿨던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러지 못했는데 그게 지금 참 아쉽고 후회된다.
-쉴 땐 뭐하나.
▲친구들하고 놀거나 운동한다. 골프를 가끔 치는데 ‘100돌이’다. 그러고 보면 내 생활도 참 재미없다.(웃음)
-결혼 계획은.
▲정말 좋은 가정을 꾸리고 싶다. 하지만 그러기가 쉽지 않다. 짝도 없고. 모르지, 이러다 언제 갑자기 사랑하는 사람이 나타나 결혼한다고 할지.
그는 인터뷰 말미 “모든 일은 인간관계에서 결정지어지는 것 같다. 예전에는 내 마음에 안 들면, 나와 상관없는 사람이면 신경도 쓰지 않았지만 이제는 웬만하면 좋은 관계를 만들자는 생각을 한다”고 했다.
꽃미남 송승헌. 그림 속 꽃이 이제 꽃술이 돼 익어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