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월 16일 저녁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 석답마을 인근에 마련된 대보름 맞이 행사장에 도의원, 시의원을 비롯한 주민 200여명이 몰려 들었다. 이날 행사장 주변에는 ‘무바라크=김철민, 화장터 철폐하고 즉시 사과하라’, ‘시정 감시 하랬더니 시정 옹호가 네 임무냐’는 등의 내용이 적힌 현수막 7개가 걸렸다. 대보름 맞이 행사였지만 사실상 화장장 건립 계획의 부당성을 호소하는 집회였다.
안산시가 화장장건립계획을 발표한 지난해 12월 이후 이를 둘러싼 지역주민과 시와의 갈등이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김 시장은 지난해 12월15일 상록구 양상동 일명 서락골 일원 땅 7만5천㎡(약 2만2천평)에 700억원을 들여 화장로 6기, 봉안당 3만위, 편의시설 등을 갖춘 종합장사시설 추모공원을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시가 발표한 안산화장장 부지인 월피동은 안산인터체인지 인근지역으로 안산시로 들어오는 관문인데다 선정 절차상의 공정성과 객관성 등을 놓고 지역주민들의 반대에 부닥쳐 한치의 진전도 보지 못하고 있다.
안산시는 1월 1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난해 12월 15일 최종 후보지 선정 발표 당시 밝혔듯이 기존의 안산추모공원건립추진위원회를 해체하고 김철민 안산시장, 김기완 안산시의회의장 등 공동위원장 6명과 공무원, 기업인, 전문가, 시민 사회단체 관계자 등으로 민관협의체 성격의 안산추모공원건립위원회를 구성했지만 지역주민들의 갈등을 해소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가운데 안산화장장 건립 후보지 선정 과정에 대한 의회 차원의 검증이 이뤄지게 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28일 열린 제18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한나라당 정진교 의원이 발의한 ‘안산추모공원 조성에 관한 행정사무조사 발의(안)’이 통과됐다. 시의회가 해야 할 일은 후보지 선정과정의 타당성, 정확한 여론조사 여부, 화장장 시설규모의 적정성, 화장시설 건립의 타당성과 규모에 대한 검증 등을 행정사무조사를 통해 명명백백히 가려내야 한다. 그래야만 지역주민들의 의문점이 해소될 수 있다.
본보는 시가 발표한 안산화장장 건립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는 내용의 보도를 지속적으로 내보냈다. 김철민 시장 성향을 자처하는 이른바 아류 언론관계자들까지 나서서 본보의 언론보도를 회유한 적도 있었다. 민의에 거스른다면 민의의 파고에 좌초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막대한 홍보비까지 들여가며 안산화장장 건립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지만 민심은 냉냉한 이유를 주변에서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