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주민 70%는 농촌을 개발하는 것 보다 자연경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해 8~9월까지 전국 농촌지역 거주 1천990가구를 대상으로 식생활, 건강생활, 주거 및 환경, 생산과 소비, 교육 등 5개 부문에 걸쳐 실시한 ‘2010 농촌생활지표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개발이 늦더라도 아름다운 농촌경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으냐’는 질문에 농촌주민 70%가 찬성했고 반대 의견은 10.9%에 그쳤다.
농촌 주택의 76.7%는 11년 이상된 것으로 조사됐으며 가장 수리하고 싶은 주거시설은 화장실(12.3%), 도배(12.2%), 지붕(8.5%), 부엌(8.0%), 난방시설(5.8%), 목욕탕(5.1%) 등 순이었다.
농촌주택 관련 정책 수립 시 우선 추진돼야 할 사항으로는 가장 많은 51.7%가 노후주택 개량 및 보수라고 응답했으며 에너지 절감형 주택 보급(21.0%), 빈집 정비 및 철거(13.6%), 농촌형 국민 임대주택 보급(7.3%) 등도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아침을 거르거나 불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도시민과 달리 농촌주민의 89.1%는 규칙적인 아침식사를 했으며 아침식사 형태는 밥 중심의 한식이 98.3%로 가장 높았다.
또 82.4%는 규칙적인 하루 세 끼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71.2%는 라면, 소시지, 냉동식품 등 인스턴트 식품을 잘 먹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건강과 관련, 48.6%는 ‘나는 다른 사람보다 건강하다’고 응답해 지난 2008년 보다 15.8%p 증가했고, ‘1~2년에 한 번 건강검진을 받는다’는 비율도 77.3%로 2008년에 비해 18.4%p 상승했다.
농촌가구 중 16.8%는 부업을 하고 있었으며 부업으로는 품팔이·막노동 등의 경노동(22.6%)이 가장 많았고, 상업(17.6%), 농축관련업(11.9%), 생산 및 제조업(9.5%)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부담되는 지출 항목은 의료비(30.5%), 주거비(18.6%), 광열·수도비(14.9%), 교육비(13.0%)가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