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부품연구원(KETI·원장 최평락)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손잡고 모바일기기용 삽입형 무선통신모듈 표준화를 추진 모바일 부가서비스시장의 확대와 사용자 편의 증대효과가 기대된다.
모바일기기용 삽입형 무선통신모듈은 모바일기기의 내장형 무선통신모듈인 NFC, RFID, Bluetooth, ZigBee, WLAN, LTE 등을 초소형화해 표준화된 USIM카드나 MicroSD카드에 각각 내장시키는 부품이다.
13일 KETI, 전자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모바일 기기용 삽입형 무선통신모듈 및 인터페이스의 표준화가 돼 있지 않아 모바일기기 제조사들이 요구하는 무선통신모듈에 맞추기 위해 최대 20여개의 무선통신 모듈을 개발해야 하는 부담요인으로 인력, 생산시설 등 추가비용이 발생, 관련 중소기업들이 표준화를 요구해왔고 이번에 실천에 옮기게 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모바일기기용 삽입형 무선통신모듈의 개발은 시대적 요청”이라고 전제하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모바일기기별, 수요업체별 요구에 따른 각기 다른 형태, 크기 및 규격으로 인해 모바일기기 간 통신모듈의 호환이 이뤄지지 않아 비생산적였으나 이번 표준화 실행으로 성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특히 표준화 작업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게임기, e-book, 내비게이션 등 모바일기기용이 부쩍 증가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진행 돼 관련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이규복 KETI 융합통신부품연구센터장은 “무선통신모듈 표준화는 무선통신모듈 개발소기업, 모바일단말 제조업체, 이동통신사간 기술력이 융합 돼 표준화 실효성이 높다”며 “국내 표준화 추진에 이어 신시장 개척 위한 국제표준화에도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