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학업중단 아이들 국가가 관여하라

자주 언론에 보도되는 비행청소년 문제를 들여다보면 대부분의 해당 청소년들은 학교를 그만두거나 가출한 경우가 많다. 절도나 강도, 성폭행이나 미성년자 성매매 등 각종 비행에 관여돼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점으로 떠 오른 지 오래다. 청소년들의 학업 중단은 여러 가지이유가 있다. 또래 교우관계가 좋지 않은 아이들, 학업 성취력이 낮은 청소년들은 당연히 재미없는 학교생활에 염증을 느낄 수밖에 없다. 가정폭력에 노출되거나 부모의 불화, 그리고 이혼 등 위기가정의 아이들도 학업에 몰두 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학교에 가지 않으려는 학업중단 청소년이 전체 학생의 약 1%인 7만2천여명에 이른다고 한다. 또 학업중단 문제는 학령이 높을수록 더욱 두드러져 초등학생은 1만8천여명, 중학생은 2만여명, 고등학생은 3만4천여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고등학교 청소년의 학업중단은 2006년 이후 매년 증가한다는 것이다. 경기도내 학업중단 청소년은 지난 2009년 초등학생 3천798명, 중학생 4천373명, 고등학생 8천888명이었다.

이에 지난 22일 경기도교육청 대강당에서 ‘중도탈락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교육계 관계자들은 학업중단 학생에 대한 문제점과 지원책 등을 논의 했다. 이날 토론회 참석자들의 공통된 의견은 학업(등교)을 중단한 청소년들은 복교하기도 어렵고 각종 비행으로 이어져 예방과 지원 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발표자는 학교의 억압적인 입시풍토가 등교 중단자 발생의 원인이라면서 등교중단 청소년들은 더 이상 학생이 아니라는 이유로 교육 소외집단이 돼 왔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 교장은 위기학생 멘토링과 상담활동 강화 등 관련 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교사는 학업중단 학생들이 대안학교에 진학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협력 및 예산 지원이 필요하며 대안교육 위탁기관 증설과 교내 대안교실 운영, 상담인력 확대 등의 방안이 실시돼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모두 맞는 말이다. 학업을 중단한 아이들은 대안학교에서 학업을 다시 시작하기도 하지만 범죄에 노출되어 보호관찰소나 소년원, 미혼모시설을 전전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의 앞날을 위해서도 그리고 우리 사회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국가와 교육계는 물론 사회 전체가 상호 협력해 학교부적응과 학업중단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