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저소득층의 교육격차를 해소하기위해 우선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2일 인천시교육청은 5월 인천교육 주요정책사업 정례 언론브리핑을 통해 올해 저소득층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지난해에 비해 대폭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지난 2003년 서울과 부산 지역에서 최초로 시범사업으로 실시됐으며, 인천은 2005년 동부교육청 연수구를 시작으로 지난해 지자체 모든 행정구역에 있는 유치원·초·중학교 77개 교육기관으로 확대됐다.
그동안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학교 교육 만족도 평균값이 2009년 95.1%, 2010년은 96.2% 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순서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무단결석과 학교폭력이 감소하는 등 대상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긍정적인 태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소그룹 지도, 교과특별 보충을 통한 기초학력 향상, 교사와 학생 간 관계증진에 따른 사회성 증대와 자기 효능감 제고 등 유익한 성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에 따라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40명 이상 학교로 확대해 지원기관이 총 136개 기관으로 늘어났다.
지원예산도 전년대비 34억원이 늘어난 총 81억원을 지원하는 등 좀 더 많은 학생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했으며, 사업을 더욱 체계적으로 운영키 위해 부교육감을 위원장으로 하는 지자체 담당공무원, 사업학교장, 교육복지 전문가 등으로 교육복지협의회를 구성, 사업 기본계획 수립, 사업학교 지정, 연수, 평가 업무 등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했다.
아울러 교육복지 전문가로 하여금 일선 학교현장과 교육지원청의 실무지원 기능을 수행할 연구지원센터를 운영토록 했으며, 단위학교의 업무부담 완화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실무전담인력인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모든 사업학교에 배치했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 및 단위학교 현장에 맞는 모델 구축을 위해 서림초, 북인천중 2개교를 연구시범학교로 선정하고 사업비 1천만원을 지원했으며, 사업관계자 연수 및 평가, 컨설팅과 홍보, 기존 사업학교와 신규 사업학교 간 멘토·멘티를 선정해 상호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멘토링 사업을 운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