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불교 종단인 조계종이 최근 연등축제의 문화재 지정이 무산된 것과 관련,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조계종은 19일 논평을 내고 “문화재청은 최근 연등회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한 심사 과정에서 미온적 태도로 일관해 결국 지정이 보류됐다”면서 “그 사유 또한 명확하지 않으며 납득하기도 어렵다”며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명했다.
이어 “중국이 아리랑, 한글 등 우리 전통문화를 자신들의 국가 문화유산으로 지정하고 연등회마저 독점하려고 하는 현실에 대한 사회 전반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임을 볼 때 매우 개탄스럽다”며 “문화재청이 어떠한 인식과 판단을 하더라도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인 연등회를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계종은 또 “문화재청은 예산 문제에 있어서도 종교 간 갈등과 왜곡된 시각을 방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최근 정부와 한나라당이 내년도 전통문화 지원 예산으로 2천200억 원을 책정하기로 했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종교 편향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면서 “문화재청은 즉각 문화재 예산 내역과 전통문화 관련 예산 내역을 밝혀 국민의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일부의 편협된 주장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계종은 그러면서 “만일 문화재청에서 아무런 이유 없이 수천억 원의 국가 예산을 단지 불교를 위해 지원하고 있다면 당장 그 지원은 중단되어야 할 것이며 불교 재산에 대한 문화재 지정도 철회하고 불교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화재위원회 무형문화재분과위는 앞서 지난 8일 서울 고궁박물관에서 회의를 열어 조계종이 올해 초 신청한 연등축제 문화재 지정 안을 심의했으나 등(燈) 제작의 역사성이 제등행렬의 전통성 등을 이유로 들어 문화재 지정을 보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