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5급 공무원 중 이른바 ‘도 자원’으로 분류되는 상당수 공무원들이 시·군으로 전출하면 함흥차사(?)다.
도와 시·군간 인사교류를 하려해도 시·군 근무희망자는 넘쳐나는 반면, 도청근무 희망자는 아예 1명도 없거나 ‘가뭄에 콩 나듯’ 하면서 인사교류 불통 속에 도청 복귀를 꺼리는 기피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도에 따르면 21일자로 단행한 사무관급(5급) 전보·승진 인사에서 도내 31개 시·군 중 성남·부천·용인·남양주·광명·양주·하남·과천·여주 등 9개 시·군에서 고작 10명에 대한 1대1 맞트레이드가 단행됐다.
당초 이번 인사에 앞서 도가 전입·전출 희망자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행 도청 근무자 44명이 시·군간 인사교류를 신청한데 반해, 일선 시·군에서는 16명이 도 전입 희망의사를 보였다.
이같은 1대1 인사교류 불균형이 초래하면서 도 및 시·군간 인사교류 활성화를 위해 부랴부랴 인사부서 책임자까지 나서 일부 지역에 전출해 있던 ‘도 자원’의 5급 대상자에 대해 ‘도청 복귀’토록 불호령을 내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 당초 기대에 크게 못미친데다 S시의 경우 아예 1명도 전입희망자가 없어 성사되지 못했고, 또다른 S는 교류대상자를 둘러싼 양측간 입장이 엇갈리다 논란 끝에 성사된 상태다.
일선 시·군에서 도청 전입을 희망, 인사교류를 추진했으나 도에서 전출하려는 희망자에 대해 해당 단체장이 여러 사유를 들어 전입을 거부하면서 무산되기도 했다.
이처럼 도청근무 기피현상이 높아진 것은 도-시·군간 인사교류가 본인 의사에 따른 강제성이 없고, 도청 근무시 실무자급 공무원인데 반해 시·군 근무시 과장급 또는 책임자급의 동장 요원으로 재임할 수 있고, 서기관(4급) 승진 경쟁도 상대적으로 적어 초래되고 있다.
특히 민선단체장의 인사재량권이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승진 가산고과는 물론 공직 퇴임 이후까지 시·군 근무를 통해 우대받을 수 있는 점 등이 작용하면서 운용개선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의 한 직원은 “5급 공무원이면 시·군에서는 과장급으로 여러가지 측면에서 도에 복귀하는 것보다 편하지 않겠느냐”며 “시·군으로 전출하면 복귀하기를 꺼리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해서 보완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실무 경험을 확대 등을 이유로 일선 시·군에 2~3년 근무후 다시 복귀시키는 인사 교류를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