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매월 첫째 토요일을 ‘전통시장 가는 날’로 지정하고, 공공직거래 장터를 현행 23개소에서 35개로 확대하는 등 하반기 내수 활성화를 위한 총력전에 나서기로 했다.
도는 26일 김성렬 행정1부지사 주재로 실·국장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내수 활성화대책을 발표, 정부의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인 서민생활 안정화를 위해 공동 보조를 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행정1부지사를 팀장으로 실·국장, 부단체장이 참여하는 ‘경기도 내수활성화 추진 T/F팀’을 구성해 내수 활성화 정책을 총괄한다.
또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매월 첫째 토요일을 ‘전통시장 가는 날‘로 지정,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상반기 물가안정화 대책으로 추진한 농특산물 직거래 장터와 소셜커머스 제도도 확대 운영된다.
도내 23개소에 설치된 공공직거래 장터를 인구 30만 이상 도시에 12개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 연말까지 35개로 늘린다.
농산물을 30~50% 할인 판매하는 소셜커머스 제도는 소비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품목 확대를 추진하는 한편 경기사이버장터, G마켓, GS홈쇼핑, OK캐시백 등과 연계하는 할인이벤트도 실시한다.
지적·자폐 장애인을 사서 보조원으로 고용하는 공공도서관의 수를 91개에서 151개로 늘이고, 전문계고 졸업자를 위한 경기청년뉴딜사업 등도 추진한다.
관광 활성화를 통한 내수확대를 위해 가평 자라섬과 연인산, 연천 한탄강에 위치한 캠핑장을 확대하고 안산 화랑유원지, 용인 기흥 호수공원, 포천 산정호수 등에 내년까지 캠핑장 조성을 마칠 예정이다.
도 박수영 기획조정실장은 “전통시장 활성화나 중소기업 지원, 지역관광 활성화 등이 도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