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가 ‘물갈이론’으로 시끄럽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은 ‘공천 언급 자제령’에도 불구, 텃밭인 영남권 다선의원의 물갈이론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내부 반발기류가 확산되고 있고, 민주당도 중진 의원들의 수도권 출마 선언과 맞물려 ‘호남권 쇄신론’이 수면 위로 급부상하면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당 인재영입위원장인 주호영 의원이 ‘물갈이 비율 40%대’를 언급한데 이어, 공천 실무를 담당한 김정권 사무총장이 “총선에서 자기희생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와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영남권 다선의원을 중심으로 반발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당 지지율 대비 현역의원 지지율이 낮은 후보에 대한 공천 배제론도 더해졌다. 여의도연구소장인 정두언 의원은 “당 지지율보다 개인 지지율이 현저히 낮은 후보는 교체지수에서 반영돼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 출신의 안경률 의원은 이날 “당이 지나친 물갈이를 하다 큰 것을 잃을 수 있다”며 “말을 앞세워 함부로 발언할 게 아니라 국민에게 다가가는 정책을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홍준표 대표의 ‘공천 언급 자제령’에도 불구하고 물갈이 당내 발언이 잇따르며 친박계에서 18대 총선 당시의 ‘공천 학살’ ‘사천(私薦)’에 대한 관측이 회자되면서 당내 논란을 더하고 있다.
민주당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호남지역에 지역구를 둔 붙박이 의원을 대상으로 물갈이론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이 내년 총선 때 변화와 쇄신을 기치로 대대적인 영남 물갈이에 나설 경우 민주당도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을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또 대선의 교두보라 할 수 있는 총선에서 승리하려면 변화와 개혁이 불가피하고 이를 위해 텃밭이나 다름없는 호남에서 제살을 깎아내면서 쇄신하는 모습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반면에 인위적 물갈이는 상향식 공천을 표방하는 공천개혁안의 방향과 맞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호남을 역차별하는 인상을 줘 유권자의 반감을 살 수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내년 총선에 이은 대선을 향한 여·야간 물갈이는 당분간 수면 아래 논란이 불가피하지만 점차 가속화될 것으로 보여 양당의 텃밭인 영남·호남권의 후폭풍 여파에 이어, 절반 이상의 공천탈락설이 확산되고 있는 수도권의 인적 쇄신도 가장 ‘뜨거운 감자’로 직격탄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