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파주시는 통상 15개월 정도 걸리는 사업승인 절차를 신청 6시간 만에 끝내 ‘파격 행정’ 사례로 주목받은 바 있다. 이 사업은 이화여대 파주캠퍼스 이전 사업이었다. 15개월이나 걸리는 승인을 6시간 만에 처리했을 만큼 이화여대 파주캠퍼스에 거는 파주시와 경기도의 기대는 컸다. 수십년 간 국가 안보를 위해 희생한 경기북부 파주지역의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발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2006년 10월 11일, 이화여대가 파주캠퍼스를 짓기로 MOU를 체결했다. 미군 반환공여지를 활용한 대학 설립의 첫 사례로 경기북부에 들어서는 최초의 종합 명문대학 이었다.
하지만 이 사업은 그동안 이렇다 할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보상가와 관련한 소송과 이대와 국방부간 땅값 줄다리기 등으로 우여곡절을 겪었던 것이다. 국방부는 땅값을 1천750억 원으로 평가했다. 이대는 2010년 감정 평가한 652억 원 이상으로 땅을 매입하지 않겠다고 버텼다. 그리해 국방부가 재감정을 거쳐 1천114억 원으로 낮췄다. 그러나 결국 이화여대 측은 11일 국방부가 제시한 땅값이 너무 비싸고 내부적으로 사업을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문제점이 나왔다며 사업을 포기하고 말았다.
안타까운 일이다. 이에 파주시는 “이대의 파주캠퍼스 조성 포기는 전통사학의 신뢰를 일거에 떨어뜨리는 무책임하기 짝이 없는 행동”으로 “이화여대 측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고 그간 사업 과정에서 일어난 재산권 피해 등 모든 사항에 대해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사실 경기도와 파주시는 환경오염 정화비용과 기반시설을 지원하며 이대 캠퍼스 유치에 열을 올려왔기 때문에 당혹스러운 결과일 수밖에 없다. 시는 이대에 공문을 보내 공식적인 답변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는 국방부의 높은 토지가격 요구 때문이라며 책임을 국방부 쪽으로 돌렸다. 이대 파주캠퍼스 이전을 위한 도의 노력은 그동안 다각도로 이뤄졌다. 반환공여지 오염치유에 2억4천만원을 지원했고, 이대 캠퍼스 건립 기금 마련 콘서트와 자연사박물관 특별전시 등에 7억여 원을 후원했다. 앞으로 학교 건립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준비하고 해외연구기관 유치사업도 적극 지원키로 약속한바 있다. 따라서 배신감을 느낀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현실을 인정하고 이제부터라도 부지의 확실한 활용 방안을 신중히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