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의회(의장 김관수)가 예산결산특위 구성을 둘러싼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개정 추진과 저지 입장이 팽팽히 맞선 채 대립, 의장석 점거 등 파행을 겪고 있다.
시의회는 당초 지난 24일부터 제173회 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한나라당 소속 12명의 시의원들이 본회의장 의장석을 점거, 휴일에도 철야 농성하는 바람에 열리지 못하고 있다.
본회의장을 점거한 한나라당 의원들은 민주당(12명)과 진보개혁연대(3명)가 공조, ‘시의회 교섭단체 및 위원회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안’ 개정을 저지하기 위해 의장석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
민주당과 진보계혁연대는 조례안 가운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을 위한 관련조항을 변경, 최근 의회운영위원회에서 의결한데 이어 내달 1일 본회의에 상정해 처리할 예정이다.
조례 변경내용은 현재 시의회 3개 상임위별 3명씩 9명으로 구성토록 하고 있는 예결특위를 의석수에 따라 구성토록 했다. 이럴 경우 예결특위는 한나라당과 민주당 각 4명, 진보개혁연대 1명으로 짜여져 민주당 주도의 야당이 다수를 점하게 된다. 반면 현행 조례안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이 예결특위의 다수를 차지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한나라당이 예결특위의 다수를 차지하게 돼 있다.
예결특위는 내년도 예산 심의를 앞두고 있어 민주당 소속의 시장이 이끄는 부천시의 각종 사업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뒤늦게 민주당과 진보개혁연대가 공조, 조례안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시의회 한나라당 소속의 한 의원은 “토·일요일은 휴일이지만 야당이 조례 개정안을 기습처리할 가능성이 있어 불가피하게 의장석 검거와 같은 상항을 맞고 있다”면서 “민주당 등 야당이 그동안의 절차와 관행을 무시한 채 꼼수로 강행한 관련 조례안을 철회할 때까지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소속의 한 의원은 이에 대해 “예결특위는 원래 의석수 비례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임위별 배분은 관행에 불과했던 것”이라며 “3당이 협의해 본회의 상정여부를 결정하면 된다”면서 농성 해제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