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잠룡으로 꼽히는 이재오 특임장관의 당 복귀가 확정되면서 예비 대권주자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장관은 당분간 국회의원으로서 의정활동과 지역구활동에 전념하며 ‘로키’ 행보를 이어갈 계획이지만, 와해된 친이(친이명박)계 재결집을 위한 구심점 역할도 예상되기 때문이다.
친박(친박근혜)계는 ‘구원’ 관계에 있는 이 장관에 대한 경계심을 완전 해제하지는 않은 상태다. 다만 긴장관계를 유지하기보다 10.26 재보선 등 일련의 정치일정에서의 ‘윈-윈’을 기대하는 눈치다.
친박계 구상찬 의원은 “이 장관이 큰 정치력을 갖고 있으므로 친이·친박 할 것없이 당을 잘 아울러 서울시장 보궐선거, 나아가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큰 역할을 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정몽준 전 대표 측은 그의 당 복귀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
특임장관으로서 이미 적극적인 정치활동을 해온 데다, 줄곧 예비 대권주자로 분류돼온 만큼 당으로 돌아온다고 해서 이렇다할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김문수 경기지사 측도 이 장관의 복귀가 당장 대권경쟁을 촉발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 관계자는 “이 장관이 ‘백의종군한다’고 하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대권 불출마 선언으로 대선경선 ‘흥행’에 비상등이 켜진 상황에서 이 장관의 복귀는 대권경쟁에 대한 당내 여론을 환기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 장관은 내달 중순 후임 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된 뒤 당 복귀가 가능한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과 행동을 같이 할 지, 아니면 먼저 당으로 돌아올 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 복귀시에는 현재 소속된 국회 보건복지위에서 활동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