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배종후언(背從後言)이라고도 한다.
성공하는 사람은 결코 그런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 인격적으로는 저열함을 보이는 것이고 뒷말은 반드시 상대방의 귀에 들어간다는 점이다.
중국 송나라 때 얘기다. 성장(城長) 자한은 자위라는 인물을 대단히 중히 여겼다.
그런데 자한이 국외로 망명하게 됐을 때 자위는 따르지 않았다. 자한이 망명을 끝내고 다시 돌아오자 자위를 불러 여전히 후하게 대접해 줬다.
그러자 자한의 부하가 “자위에게 그렇게 잘 대해 주었건만 망명할 때 그는 모른 척 하지 않았느냐, 그런데도 지금 또 그를 중히 여기시니 저희들에게 부끄럽지 않느냐”고 물었다.
이에 자한은 “내가 자위를 귀하게만 했지, 잘 등용했으면 내가 망명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내가 다시 돌아올 수 있었던 것은 자위가 나에게 보여준 덕치(德治)의 교훈이었다.
내가 망명길에 올랐을 때 나의 공적을 깍아 내리고 내가 심은 것들을 뽑아버린 것과 나를 따르던 자들과 어느 것이 나의 망명에 이익이 되었겠는가”라고 답했다.
/근당 양택동 (한국서예박물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