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매향리 평화생태공원 조성, 늦추지 마라

지난 1990년 1월 18일, 매향리폭음피해 주민대책위원장 전만규 씨의 법정최후 진술을 보면 아직도 가슴이 아프다. ‘실제로 고기잡이하던 어부가 기총사격을 당해 어부의 팔뚝이 관통을 당하고 엄마 따라(조개채취)바다로 갔던 12살 먹은 소녀가 폭탄의 파편에 다리가 잘려 나가고 굴을 따던 임신 8개월의 산모가 포탄에 명중돼 즉사 당하는 참상이 매향리 땅에서 50년 간 자행된 것입니다.’ 그동안 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매향리 미군 쿠니사격장에서는 오폭사고로 주민 11명이 숨지고 소음피해를 겪은 주민도 4천여명에 이른다. 이 때문에 지난 80년대 부터 사격장이 폐쇄될 때까지 주민과의 마찰이 극심했었다.

매향리는 50년 동안 미 공군의 폭격연습에 의해 주민들의 고통이 쌓여온 상처의 현장이다. 한국전쟁 중이던 1951년부터 지난 2005년까지 54년간 미 공군 사격장으로 100만여㎡의 들판과 무인도에서 평일 하루 평균 11시간 씩 전투기의 기총사격과 폭탄투하 훈련이 이뤄졌다. 일본 오키나와, 미군 괌, 이라크 출동 미 공군까지 매향리로 날아와 폭격 연습을 했다. 이에 참다못한 주민들이 들고 일어섰다. 안보도 좋지만 주민들의 삶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 미국과 자국민을 보호하지 않는 우리정부를 대상으로 생존권 투쟁이 시작된 것이다.

이들의 절실한 외침에 사회·시민단체 회원들과 학생, 그리고 문화예술인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이 미군 쿠니폭격장(농섬)을 찾아가 사격장 폐쇄를 주장하는 시위를 벌이고 문화행사를 개최했다. 결국 쿠니사격장은 지난 2005년 8월 12일자로 폐쇄됐고 화성시는 사격장 공여구역인 97만3천㎡를 공원 60%, 레저시설 40%의 국제적인 평화생태공원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정부도 사업비 2천18억 원을 들여 오는 2013년 완공하겠다고 화답하면서 조성 계획을 승인함으로써 순항하는 듯 했다.

그런데 화성시가 예산이 부족을 이유로 정부에 변경승인을 요청한 것이다. 물론 시민단체 및 주민들은 “매향리 평화생태공원 조성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면서 조속한 사업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들의 불안은 지금 같은 상황이라면 평화공원 조성 사업은 좌초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매향리 주민들이 겪은 그동안의 고통은 국가가 보상해야 한다. 지난 54년간 폭격과 포탄으로 망가진 폐허의 땅을 역사 생태공간으로 조성하는 사업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정부는 마땅히 국비 지원액을 늘려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