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4년제 대학 유치를 위해 8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도 단 1건도 유치하지 못했다는 민주당 백원우(시흥갑) 의원의 국정감사 지적에 대해 ‘차질없이 진행 중’이라며 뒤늦은 해명에 나섰다.
도는 3일 해명자료를 내고 “백 의원이 주장한 내용의 일부가 사실과 달라 설명드린다”며 “경기도 대학 유치사업은 차질없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도는 “대학유치 사업은 MOU 체결 이후에도 학내 의견수렴, 자금확보, 교과부 승인, 도시계획 결정, 건축허가 등 문제를 극복하느라 개교 시점까지 최소 5년 이상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반환공여지 입지는 토양 환경오염 치유까지 기간이 더 소요되는 장기 대규모 민자유치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MOU를 맺고 나서 성과가 없다는 주장은 무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도는 이어 서강대 남양주캠퍼스의 경우 학교재정의 어려움으로 사업을 포기한 것이 아니라 남양주시 일원으로 입지를 변경해 사업을 진행중이며, 하남시와 중앙대도 캠퍼스의 규모 축소 및 주택용지 등 복합단지 구상을 놓고 이견을 드러내고 있으나 현재도 협상을 진행중이라고 덧붙였다.
백 의원은 앞서 지난달 2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도 국정감사에서 지난 2006년 이후 미군 공여지 및 주변지역에 대학의 증설·이전이 가능해지자 도내 자치단체와 대학 간 MOU체결이 8건에 달하지만, 실제 유치는 단 1건도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서강대와 국민대가 재정 어려움 등의 이유로 사업을 취소했고, 하남시의 중앙대 유치도 사업취소로 무산됐다고 도의 대학유치 실패사례를 제시한바 있다.
한편 도내에는 반환공여지에 4개 대학, 일반토지에 3개 대학, 대학자체 부지에 5개 대학 등 총 12개 대학 유치 사업이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