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지난달 30일부터 파업중인 삼화고속의 파업 장기화에 대비 버스정책과장을 단장으로 17명의 비상대책반을 편성, 불편민원의 신속한 해결에 주력할 계획이다.
6일 시에 따르면 삼화고속 노사는 지난 6월부터 임금교섭을 실시하면서 노사양측의 현격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6월과 8월 전면파업 및 준법투쟁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달 30일 마지막교섭을 끝으로 심야파업을 단행하고 노조측의 인상요구조건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오는 10일부터 전면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그동안 시는 파업조기해결을 통한 시민불편해소를 위하여 수차례의 노사정 간담회, 유관기관 간담회 등을 개최해 노사간 파업을 종료하고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노사교섭을 유도해 왔다.
그러나 수차례의 노사교섭에서 민주 버스노조측의 인상요구액 시급 5천700원(20.6%)으로 인상과 1일근무시간 20∼21시간을 18시간으로 조정해 줄 것을 요구해 왔으며, 삼화고속 사측은 인상제시액인 시급기준 4천847원(2.5%)과 버스 요금 인상시 165원(1%) 추가한 4천892원으로 인상안을 포함 근무 시간 단축에 따른 제반수당 조정안을 제시하고 지속적인 교섭을 요구했으나 노사측은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파업에 돌입해 있다. 또한 이들은 인천시에 대해 광역버스의 준공영제 편입과 요금인상을 요구하고 있으나, 준공영제 편입에 따른 시의 재정부담과 요금 인상으로 인한 시민부담이 우려돼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으나 시는 노사양측이 상생할 수 있는 교섭안이 마련돼 조기에 노사간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중재를 하고 있다.
한편 시관계자는 “이번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광역버스이용시민들의 이용불편해소를 위해 시내버스 예비차량을 투입해 출퇴근시간대 시내 주요거점지역에서 주요 환승역과 퇴근시간대 서울역, 신도림역 등 서울시내 주요환승역에서 인천시 주요 지역으로 수송계획을 수립 운영 할 계획이며, 광역버스파업에 따른 민원불편신고 및 안내를 위해 버스정책과장을 단장으로 17명의 비상대책반을 편성 불편민원의 신속한 해결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