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해저터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이른바 ‘김문수표’ 핵심 전략사업들이 잇따라 정부의 검증(?)에 제동이 걸리면서 김 지사의 대권 행보도 난기류에 휩싸이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김 지사가 강력히 추진해온 해저 터널사업과 GTX 사업들을 긍정적으로 검토, 사업 추진에 청신호를 지속해 왔지만 이들 사업의 잇단 제동으로 김 지사의 대권 행보를 향한 추동력으로 뒷받침되지 못한 채 사업추진마저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13일 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시절인 2008년 1월과 2월 “경제대국으로 급부상하는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의 서해안과 중국 동부연안을 연결하는 ‘한·중 해저터널’ 건설이 시급하다”며 해저터널 건설방안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이 대통령에게 건의했다. 당시 도는 인천~웨이하이(362㎞), 평택~웨이하이(374㎞), 군산~웨이하이(380㎞)등 3개의 해저터널 노선안을 제시했으며, 경기개발연구원은 터널 건설시 생산유발 효과가 275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까지 내놓았다. 이후 도는 독자적으로 한·중 해저터널 건설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등을 진행했고 국토해양부도 교통연구원에 의뢰,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검토를 의뢰하면서 사업 추진에 청신호가 켜지는 듯 했다.
하지만 연구 결과는 되레 발목을 잡았다.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오면서 한·중 해저터널 사업은 전면 백지화됐다.
도의 역점시책으로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2011~2020년) 전반기 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사업추진에 탄력을 받아온 GTX사업도 관련 용역비가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 심의에서 전액 삭감돼 조기 착공에 빨간불이 켜졌다.
국토해양부는 GTX 시설사업 기본계획에 관한 용역비 50억원을 편성해 주도록 기획재정부에 요청했으나, 기재부는 예비타당성 조사가 우선돼야 한다며 이달 초 이를 전액 삭감했다. 기재부는 GTX사업은 정부고시 사업이어서 원칙대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먼저 해야 한다며 삭감 배경을 설명했다.
이처럼 ‘김문수표’ 핵심 전략사업들이 잇따라 무산되거나 차질을 빚으면서 김 지사의 대권 행보에 추동력을 상실했다는 섣부른 관측마저 더해지고 있다. 게다가 잇단 설화로 인한 대외이미지 실추도 높아져 답보상태의 지지율을 높이려는 노이즈마케팅 비판도 대두되고 있어 10.26 재보궐선거 이후 조기에 타개책 마련을 위한 정치행보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역점사업들이 잇따라 정부의 제동에 걸리기는 했지만, 도정 운영에는 별다른 차질이 없다”며 “GTX는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된 만큼 착공시기만 늦어질 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