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용인경전철 특혜비리의혹에 대한 전방위 수사에 나선 검찰이 두차례에 걸친 압수수색과 공무원 소환조사 등으로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수원지검 특수부(차맹기 부장검사)는 26일에도 용인시 경량전철과 담당자 등 관련 공무원들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있다. 또 검찰은 압수물에 대한 분석을 끝내는 대로 이정문ㆍ서정석 전 용인시장을 포함해 용인시와 사업시행사의 핵심 관계자들을 줄줄이 소환할 방침이다.
지난 2007년 10월 본보가 용인경전철과 관련한 실시협약과정에서의 특혜의혹비리와 부실시공 의혹을 첫 보도한 이후 4년만에 법에 의해 진실이 가려지게 됐다. 특히 시의회 조사특위 구성과 청문회 실시, 수사의뢰와 검찰의 전방위 수사가 현실화된데 이어 특혜시비를 부른 실시협약 체결과 리베이트 및 변칙 회계처리 의혹 등의 알려진 의혹들은 물론 구체화되지 않은 각종 의혹들의 실체가 밝혀질지도 관심이다.
우선 지역 정관계 유력 인사들을 둘러싼 리베이트 및 뇌물수수 의혹 등의 사실 규명여부가 첫손에 꼽힌다. 이미 전직 시장과 시의회 관련 상임위원장 등은 물론 내년 총선 출마가 유력한 A씨와 B씨 등의 정계 인사들의 협약 및 각종 하도급 개입여부와 리베이트 의혹 등이 끊이지 않고 있고, 2000년대 초중반 지역 정관계 인사에 대한 용인경전철(주)의 거액 집중 로비설의 실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여기에 지난 2006년 민투법 개정으로 MRG 폐지가 예고됐음에도 서둘러 실시협약을 체결해 사업 시행자 등에 천문학적인 이윤을 보장한 특혜 협약 체결 시기를 둘러싼 로비설과 두차례에 걸친 뻥뛰기 수요예측을 둘러싼 결탁설 등의 규명도 새롭게 주목받는 변수다.
부실시공 의혹과 함께 당초 예상과 달리 예산절감은 커녕 1조원대의 대규모 토목공사를 보장한 고가형 방식 채택의 배후가 밝혀질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실제 경전철에 대한 아무런 기준도 없는 상태에서 고가형 방식의 전격 도입으로 경전철이 아니라 KTX의 운행도 가능한 중전철로 변질돼 천문학적인 공사비가 투입된 것은 물론 전직 시장 주변 인사들의 불법 변칙 하도급 참여를 통한 돈세탁과 리베이트 보장 의혹도 구체적으로 나온다.
또한 지난 2007년부터 계속된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경량전철공사 품질 시공상태 점검관련 U형 거더(대들보) 및 상부 슬라브의 균열, 교각 압축강도 부족(249~194kgf/㎠) 등의 적정성·안전성 등에 구체적인 지적과 연이은 부실시공·감리 의혹 등도 이에 기인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개통 연기와 협약 해지의 핵심요인으로 거론된 소음민원 등과 관련한 불량자재 사용 의혹의 진실이 밝혀질지도 눈길을 끈다. 무소음 친환경을 내세웠던 용인경전철의 시범운행 당시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불렀던 소음민원의 유발원인으로 주목받았던 교좌장치내 핵심장치인 스페리컬 베어링과 마찰력에 문제가 제기된 레일패킹 등에 대한 불량자재 시공 제보와 의혹 등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시민의 목숨을 담보로 돈벌이에만 급급했다는 비난과 함께 걷잡을 수 없는 파문도 예상된다.
이밖에 부실감리 의혹을 뒷받침하는 선형 임의 변경 시공의 사실 확인, 대규모 중장비 투입 알선 등 공무원들과 지역 유지들이 유착한 일부 지역업체 하도급 몰아주기와 리베이트 수수 의혹 등에 대한 수사 결과에도 관심이 모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