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지방재정 건전화 추진위원회이성만 위원장 (가운데)이 27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그동안의 활동사항을 브리핑하고 있다.
인천시가 서해 불안을 극복하고 남북교류 거점으로 재탄생하기 위해서는 서해평화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동북아를 시야에 넣은 평화도시를 지향하고 구축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7일 인천발전연구원 강승호 연구위원은 인천 평화도시 구상에 관한 연구를 통해 서해상의 불안을 극복키 위한 대안으로 지난 2007년 남북 정상간 합의사항이었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구상’이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돼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으며, 인천시도 서해5도 지역을 해양평화공원으로 만들자는 구상을 내놓았다.
또한 “지난 4월에는 종교, 환경, 통일 등 지역 각 분야 30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인천을 평화도시로 만들자는 범시민 운동을 전개키로 하고 연평도 포격 이후 경색된 남북관계를 인천이 나서 풀어야 한다”며,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평화도시 인천’ 캠페인을 펼쳐 나간다는 선언을 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강 연구위원은 “평화도시를 지향한다는 것은 평화개념을 정책의 목표로 설정할 수 있는 도시를 의미한다”며 “서해연안 접경도시이자, 동북아시아의 주요도시인 인천의 도시정책 목표로서 평화도시의 적용가능성과 인천 평화도시 구상의 방향에 대해 검토한 결과 인천이 서해 불안을 극복하고 남북교류 거점으로 재탄생하기 위해서는 서해평화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동북아를 시야에 넣은 평화도시를 지향하고 구축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서해 불안정은 남북관계의 불안정이 초래한 측면이 있지만, 더 큰 동북아 질서 불안정의 원인은 사회주의체제의 붕괴로 인한 세계적인 탈냉전에도 불구하고, 단일 패권적 질서를 강화하는 미국과 동맹을 상실한 북한 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고, 이 지역의 중국, 일본 등도 군비를 확대하고 있어 한반도와 동북아에는 여전히 전통적인 안보이슈들을 평화이슈로 전환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