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인천보훈대상자가 서울로 가는 까닭은...

대학병원 안되고 위탁병원 멀어 진료 차별
이윤성 의원, 보훈병원 건립 정부에 촉구

전쟁이나 위험지역에서 국가를 위해 헌신하다가 몸을 다친 인천 거주 국가보훈 대상자와 그 가족들이 타 지역에 비해 병원 진료에서 큰 차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6일 한나라당 이윤성(인천 남동 갑) 의원이 국가보훈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천지역에는 모두 8만2천여명의 국가보훈대상 의료지원자가 거주 중이며 이중 국비진료대상 보훈대상자가 1만600여명에 달한다.

그러나 이들의 진료를 위해 지난 2006년부터 추진됐던 인천보훈병원 건립이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무산돼 인천 환자들은 서울의 동쪽 끝인 강동구 둔촌동 중앙보훈병원까지 원정을 가야하는 실정이다.

보훈처는 보훈병원이 먼 환자들을 고려, 지역별로 위탁병원을 지정 운영하고 있으나 진료비가 많이 나온다는 이유로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은 위탁병원에서 제외시켜 인천에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남동구는 지역에 대학 병원과 종합병원이 있음에도 요양병원이 위탁병원으로 지정돼 있으나 서구와 중구는 선정된 위탁병원 자체가 없어 3천500여명에 달하는 국비진료대상 보훈가족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결국 남동구에 사는 보훈가족이 요양병원 진료를 기피하고 비용과 시간을 더 들여 타 지역 병원을 찾는 꼴이며, 더구나 요양병원의 경우 상대적으로 진료과목이 적고 치료보다 입원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많지 않다는 게 의료계의 분석이다.

따라서 이 의원은 “결과적으로 인천 거주 보훈 가족은, 서울보훈병원은 찾아 가기 힘들고, 지역 내 대학 병원은 제재 때문에 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남동구 거주자들은 동네 일반 병원조차 못가는 현실”이라며, “보훈청이 인천보훈병원을 지어주지 않을 것이라면 대학병원에서 진료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인천보훈지청이 인천뿐만 아니라 경기도 일부 지역도 관리하는 데 광명, 김포, 부천 등에는 면적과 인구에 관계없이 시당 2개의 위탁병원을 지정해 놓고 있으나 인천에는 10개 군·구에 8개 위탁병원만 선정, 형평성이 결여돼 있다”며 인천보훈병원 건립을 주장했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