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인천시가 경인고속도로 간선화 사업을 포기하기 위해 예산을 뻥튀기 했다(본보 12월 8일 17면)는 주장이 지역구 국회의원으로부터 제기되자 지역구 인천시의원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사실을 왜곡해 정치적 입지를 확보하려는 술책이라고 비난하고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12일 인천시의회 김병철 건설교통위원장과 구재용 의원은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경인고속도로 간선화 사업은 지난 2009년 4월 국토해양부와 인천시가 ‘가정오거리 도시개발사업, 가좌I/C주변 등 도시재생사업, 인천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의 원할한 추진과 경인고속도로 기능 유지가 조화될 수 있도록 합의함으로서 추진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같은해 12월 사업 타당성 용역 추진과정에서 사업비와 유지비가 과다하게 산출됐고 민원의 야기로 가좌I/C주변 도시재생사업이 취소와 함께 미국발 금융위기 등 제반여건이 열악해져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은 사실상 불가한 것으로 정리된 상황으로 경인고속도로 간선화 및 지하차도 건설 사업비로 산정됐던 4천451억원은 최초 계획했던 루원시티 직선화 구간 등이 제외된 간선화 구간(3.5Km)만 해당되는 비용”이라고 덧붙였다.
구 의원은 “뻥튀기 예산을 주장한 지역구 의원은 4천451억원으로 산출된 사업비용이 지하차도 사업구간 전체의 비용으로 산출한 것으로 왜곡하고 있으며, 실시설계용역시 전체구간에 대한 인천시 제시안 9천544억3천500만원과 한국도로공사 제시안 1조2천546억6천600만원의 차이는 지하차도 환기방식의 선택여부에 따라 나는 차이 일뿐인데 이를 마치 사업을 포기하기 위해 사업비를 뻥튀기 한 것으로 호도하는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강조했다.
구 의원은 또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고의적으로 중단하고 사업비를 뻥튀기 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지역구 국회의원의 보좌관이 인천시 해당부서에서 충분한 설명을 듣고 갔음에도 이를 왜곡시키고 엉뚱한 방향으로 쟁점화 하는 의도 무엇인지 이해할 수 없으며, 더욱이 해당 사업은 용역을 발주하면서 사업비가 과다하게 산출되자 전임시장 재임시 사업이 불가하다고 판단돼 과업이 사실상 중단됐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병철 위원장은 “경인고속도로를 일반화하는 것은 인천시민 모두의 소망이며, 인천의 균형발전을 위한 염원인 만큼 인천시는 재정이 과다하게 투입되는 당초 전면 지하화를 배제하고 경인제2외곽도로와 루원시티 개발사업과 연계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