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이하 예술회관)이 인천지역 내외의 문화 환경을 고려해 그 역할과 임무를 재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7일 인천발전연구원 김창수 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결과를 시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술회관은 지난해부터 운영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확립하기 위해 개방직 관장제를 도입하는 등 운영쇄신을 도모하고 있으나 시 직영체제가 갖는 한계를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고 진단됨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지역 내외의 문화 환경을 고려해 그 역할과 임무를 재설정하고 위상전환을 비롯한 근본적 운영 혁신 대책을 수립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는 예술회관의 운영혁신을 위해 대관업무 중심에서 탈피해야 하고 시민과 지역을 중심으로 공연장을 운영하는 시민화·지역화 전략, 예산과 프로그램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구·군 문예회관을 연계 통합 운영하는 허브(Hub)예술회관화 전략, 예술회관을 시민과 전문 예술인을 양성하는 예술교육기관화 전략을 중장기적 발전 방향으로 제시됐다.
또 예술교육기관화 전략은 예술회관과 시립예술단이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새로운 미션이며, 문화예술교육 관련 지역현안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특히 예술회관이 당면한 과제 중 하나인 전문성 강화 방안과 관련해 ‘세종문화회관’이나 경기도 ‘문화의전당’과 같은 자체(독립) 법인화보다는 공공성과 전문성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기존의 공익재단(인천문화재단)에 위탁하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는 독립적 법인전환 경우 자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나 경영성과 위주로 운영돼, 상업주의와 공공성 훼손 논란, 기초예술 소외 등 문화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크다고 보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