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근당의고전] 성공지하불가구처

 

成功之下不可久處

공(功)을 이룬 사람은 물러나야 한다

성공한 곳에서 오래 머물러 있으면 자연히 시기하거나 미워하는 사람이 많아 화를 당하게 되니, 오래 머물지 말라는 뜻이다.

사기(史記)에는 성공하거나 논공행상(論功行賞)으로 차지한 자리일지라도 오래 머물지 말고 깨끗이 물러날 줄 알아야 주위로부터 시기를 받지 않는다고 적혀 있다.

신라 김유신은 죽음에 이르게 되자, 문무왕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성공하는 것이 정말 쉽지 않은 것을 아시고 그 성공을 지키는 것 또한 어렵다는 것도 유념하셔야 합니다.”(知成功之不易 念守成之亦難, 지성공지불이 염수성지역난)

성공자퇴(成功者退), 성공자거(成功者去), 성공신퇴(成功身退) 등도 모두가 줄여서 한 말로 쓰이고 있다. 사람이 처음에는 굳은 결심을 하고 노력해 성공을 하면 자기의 근본 생각을 잃어 버리고 자만에 빠지거나 엉뚱하게 일을 저질러 버리기 쉽다.

그래서 초심불개(初心不改)라는 말이 생겨났다. 예술가들이 초심을 버리면 상업주위의 물결에 떠밀려 혼이 없는 작품들을 쏟아내게 되고, 종교 지도자들이 초심을 잃어버리면 교리가 빈껍데기만 남게 되며, 정치인들이 초심을 잃어버리면 이권이나 챙기는 몰이배로 전락하고 만다.

사기에 ‘知進而不知退 久乘富貴 禍積爲’(지진이부지퇴 구승부귀 화적위)라 했는데, 나아갈 줄만 알고 물러날 줄 모르며 오래도록 부귀를 누리게 되면 화가 쌓여 해독을 끼치고 만다는 뜻이다. 한마디로 성공자거(成功者去)하라는 것이다.

/근당 梁澤東(한국서예박물관장)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