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후보등록을 마친 경기도내 후보자 178명 가운데 전과기록을 가진 후보자가 43명(24%)에 이른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군 미필자는 25명이다. 이 중 수형으로 인해 군복무를 하지 못한 경우가 13명에 이른다. 또 33명의 후보자가 총 36억원의 세금을 체납한 사실이 드러났고 현재까지 세금을 내지 않은 후보가 2명이나 된다. 법을 만들고 다루는 국회의원 선거에 이같은 흠을 가진 후보자가 난립하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번 4.11총선에서 유권자들은 어느 때보다 심사숙고해 투표해야 한다. 전국 246개 국회의원 선거구에 출마한 927명의 후보 가운데 국민의 4대 의무인 납세와 병역 이행을 소홀히 하거나 범죄경력을 가진 몰염치한 사람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납세의 경우 국민 1인당 연간 평균 납세액 490만원(2011년)에 절대 미달하는 100만원 미만 납부자가 4명에 1명꼴이 넘는 245명이다. 특히 지난 5년간 체납 전력이 있는 사람이 104명이나 됐고, 23명은 아예 한 푼도 안 냈다.
현역 국회의원인 일부 후보는 4년간 매년 1억원 이상 연봉을 받으면서 세금은 고작 몇 십만원을 낸 비상식의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들은 선거관리위원회에 1천500만원의 기탁금을 내는 데는 주저함이 없었다. 이런 사람들이 국회의원이 돼 혈세를 납부하는 서민의 심정을 제대로 헤아리길 기대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이들이 마구 쏟아낸 복지공약 비용을 위해 국민들은 더 많은 혈세를 내느라 허리가 휠 것이다.
여성 등 병역 비대상자를 제외한 861명 가운데 17.5% 151명은 군복무도 마치지 않았다. 일반인 평균 병역면제율 1.9%에 비하면 9배가 넘는 수치다. 특히 10억 이상의 재력을 가진 후보 중 병역미필자가 44명으로 후보 전체 미필자의 29.1%를 차지했다. 전과자도 20% 186명이나 됐다. 그 중 전과 6범을 포함해 2범 이상 상습 범법자가 70명에 달한다. 무엇보다 수뢰·알선수재·불법 정치자금 수수·공직선거법 위반 등 공직 부패와 관련된 사람이 많다는 것이 문제다.
선거에서 이런 후안무치한 무자격자를 가려내지 못하면 우리의 앞날은 그야말로 어둡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한번 사람을 잘못 뽑고 나면 최소한 4~5년을 기다려야 한다. 따라서 이번 총선에 임하는 유권자들은 먼저 납세·병역·전과 등 기본적인 자질을 꼼꼼히 확인한 뒤에 정책과 비전 등 업무능력을 평가하여 선량을 뽑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