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이야기로 보는 책거리 - ④ 이택균

 

역사에 남을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천부적인 재능을 갖추고 많은 작품을 남겨야 한다. 또 그러기 위해서 오래 살아야 한다. 조선후기 최고의 책거리 화가인 이형록(李亨祿, 1808∼1883 이후)은 이 세 가지를 모두 갖춘 작가라고 할 수 있다.

화원의 집안에서 태어나 선조로부터 재능을 물려받았고, 오늘날 국내외에 남아있는 그의 책거리가 열 점이나 되는 것을 보면 그가 그린 책거리가 꽤 많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 1808년에 태어나 76세인 1883년에도 지방에서 녹봉을 받고 있다는 ‘승정원일기’의 기록으로 보아 장수한 화가라고 할 수 있다.

이형록은 늘그막에 두 번 개명을 했다. 57세인 1864년에 ‘응록(膺祿)’으로, 64세인 1871년에 다시 ‘택균(宅均)’으로. 왜 이름을 바꾸었는지 말해주는 자료는 없다. 상상에 맡길 따름이다.

책거리 그림을 말하는 ‘책가도(冊架圖)’, ‘책거리(冊巨里)’라는 명칭이 조선후기의 기록에 보이는 것을 보면 처음부터 책가 즉, 책을 꽂는 시렁이 있는 그림과 없는 그림의 구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현존하는 책거리 그림도 책가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눌 수 있고, 책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책가도’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이형록은 전 시기에 걸쳐 책가가 있는 책가도와 책가가 없는 책거리 그림을 그렸다. 지난 호에서 본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의 ‘책가도’는 전형적인 책가도 병풍이다.

그리고 현재 통도사성보박물관에 소장된 작품은 책가가 없는 책거리 그림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왼쪽 제2폭 중간 인장함 속의 눕혀진 도장에 ‘소신이택균인(小臣李宅均印)’이라고 새겨‘택균’으로 개명한 1871년 이후의 작품이고, ‘소신(小臣)’이라고 자신을 낮추는 것으로 보아 고종 임금을 위해 그린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열 폭의 책거리 병풍으로 비단 바탕에 책가 없이 문방사우와 서책을 중심으로 고동기와 중국의 채색 도자기 등을 화려한 채색으로 그렸다.

전체적으로 사물의 배열과 구성이 치밀하고 단정하다. 청매화, 동백, 살구꽃, 모란, 복사꽃, 수선화 등 많은 꽃이 등장하는데, 모두 길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왼쪽 제4폭의 중간 쯤 산호가지에 걸린 서양 시계는 당시 새로운 서양 문화에 대한 상류층의 관심을 반영한다. 장황 재료로 쓰인 자주색 테두리와 파란 비단은 현존하는 궁중 유물에서도 볼 수 있어 다시 한 번 임금을 위한 작품임을 알 수 있게 한다. /박본수 경기도박물관 학예팀장








COVER STORY